잘보이게 하는 안경의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눈이 잘 안보일떄 착용하게되는 안경은 어떤 원리로 사물을 잘 보이게 해주는 것일까요
안경의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눈이 나쁜 사람은 안경을 쓴다. 안경을 쓰면 흐리게 보이던 것이 선명하게 보인다. 안경은 대체 어떤 원리일까? - 안경은 근시나 원시와 같은 굴절이상으로 인한 저시력을 극복시켜주는 도구다. 과거에는 유리로 만든 렌즈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플라스틱 렌즈를 이용해 가볍다. - 안경은 근시와 원시에 따라 다른 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먼저 근시는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고 먼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경우다. - 수정체가 볼록하거나 수정체에서 망막까지의 거리가 멀어 그사이에 상이 맺히는 경우다. 오목 렌즈로 교정해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해 줄 수 있다.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하는 게 특징이다. - 근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의 망막은 망막의 앞쪽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오목렌즈를 통해 빛을 퍼지도록 해 초점이 보다 뒤로 가게 도와주는 것이다. - 원시는 먼 데 있는 것은 잘 보고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못 보는 것을 말한다.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히기 때문에 먼 거리의 물체는 잘 보지만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것이다. 원시는 볼록렌즈를 이용한다. - 볼록렌즈는 빛을 모이게 하는데 볼록렌즈를 통해 빛은 한 곳으로 집중된다. 볼록렌즈는 빛을 모아주기 때문에 실제 글자에 렌즈를 비추면 원래 크기보다 더 확대된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안경은 빛의 굴절 원리를 이용하여 눈이 보기 어려운 사물을 잘 보이게 해주는 굴절 렌즈로 구성됩니다. - 각도에 따라 굴절되는 빛의 원리를 이용하여 렌즈는 빛의 진행 방향을 바꿉니다. 안경을 쓰는 사람은 눈이 보이기 어려운 사물을 보기 위해 빛을 필요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렌즈를 선택합니다. - 근시인 경우, 빛이 눈앞에서 집중되기 때문에 먼 것은 잘 보이지만 가까운 것은 흐려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음의 값, 즉 음수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사용합니다. - 반대로, 원시인 경우, 빛이 눈 뒤에서 집중되기 때문에 먼 것은 흐려지고 가까운 것은 잘 보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양의 값, 즉 양수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를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눈이 잘 안보이는 원리는 우리 눈의 수정체를 통과하는 빛이 망막에 제대로 초점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경이나 렌즈를 통해 수정체를 통과하는 빛의 굴절각도를 변화시켜주면 망막에 상이 제대로 맞춰지게 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