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23.03.28

먹을 수있는 나물과 못먹는 나물 구분법 있나요?

시골에갔더니 곳곳에 쑥,냉이들어 많이 나왔는데요. 쑥,냉이뿐 아니라 잘 모르는 나물들도 많이 있는데 사실 나물인지 풀인지는 모르지겠지만요.

혹시 먹는 나물과 못먹는 풀 구분법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보통 소나 염소가 먹을 수 있는 풀은 대게 사람도 먹을 수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또한 먹을 수 있는 나물이라고 해도 주의할 점은 있습니다.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취나물, 더덕 등은 생으로 먹을 수 있지만 두릅, 다래순, 원추리, 고사리 등은 식물 고유의 독성분이 있어서 끓는 물에 데쳐서 독성을 제거한 후에 섭취해야 합니다.

    먹으면 안되는 일명 독초에 대해 하나하나 다 열거하기 힘들지만,

    특히 사람들이 잘 멋는 산나물과 비슷하게 생긴 독초의 경우 더 주의해야 합니다.

    취나물 중 향이 그윽하고 맛이 좋은 곰취는 독성이 있는 동의나물과 닮았습니다.

    특히 잎이 서로 판박이라고 할만큼 비슷합니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곰취잎은 길이가 32cm, 폭이 40cm가량으로 꽤 큰 반면, 동의나물은 길이와 폭이 5~10cm 정도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곰취는 잎이 부드럽고 가는 털이 있는 반면, 동의나물 잎은 두껍고 털이 없으며 반질반질 광택이 납니다. 그리고 곰취는 향이 좋은 편인데, 동의나물에는 별다른 향이 없습니다.

    또한 명이나물과 독초인 박새가 서로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명이나물(산마늘)은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의 입이 2~3장 달린 반면 박새라는 독초는 잎이 줄기를 감싸들 여러장이 촘촘히 어긋나게 들라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많고 주름이 뚜렸합니다.

    첨당귀는 멋을 수 있는 나물인데, 비슷하게 생긴 개당귀는 먹으면 호흡곤란 등을 유발하는 독초입니다.

    첨당귀잎은 물갈퀴가 있는 오리발 처럼 생겨 잎이 붙어 있으며 향이 좋고 줄기 아랫부분이 흰색, 꽃은 붉은색일 띱니다. 반면 개당귀 잎은 각각 독립되어 있고 줄기 하단부 색상이 붉고, 꽃은 흰색을 띠며 별다은 향이 없습니다.

    또한 산나물 머위는 식용인데, 비슷한 털머위는 독초입니다.

    머위는 잎이 연녹색이고 부드러우며 윤기와 털이 없는 특징이 있는 반면

    털머위는 잎이 짙은 녹색이고 두껍고 표면에 윤기가 나며 갈색 털이 많이 나 있습니다.

    아무튼 독초로 인한 사고를 에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잘 모르는 나물은 절대 먹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추가로 꼭 알려드리고 싶은 사실은 산 주인의 동의 없는 산나물 채취는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물론 등산객이 그냥 조금 채취하는 것 까지는 엄격하게 통제하지는 않을것입니다만, 불법은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