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31

반딧불이의 발광 원리가 무엇인가요?

반딧불이의 발광 원리가 어떻게 되는 건가요?

반딧불이의 발광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된 게 있나요?

그리고 반딧불이의 빛의 밝기는 얼마나 밝기에 옛날엔 책도 읽었다고 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22.09.01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루시페린이라고 부르는 분자가 생체촉매인 효소(루시페라아제)의 작용으로 산소와 반응해 생겨난 불안정한 분자가 안정한 상태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것을 응용하여 oled티비를 개발했다고 알고 있으며 반딧불이 수백마리를 잡으면 촛불정도의 밝기를 낼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 빛을 내는 원리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반딧불이는 빛을 만드는 기관의 세포에서 만들어진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빛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지니고 있어요. 반딧불이가 반짝반짝 빛을 내는 이유는 바로 짝짓기를 하기 위해서랍니다. 수컷은 2줄의 반짝임을, 암컷은 1줄의 반짝임을 보이는데 이렇게 다른 불빛 모양은 서로의 위치를 알려주고,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출처 [현대차 키즈현대]

    반딧불의 빛을내는 구조를 이용하여 기존OLED를 개선하여 효율을 60%이상 증대시킨 OLED 개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정도입니다.


  • 야광의 원리는 반딧불이의 원리와 같습니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생물발광을 실생활에 적용한 것입니다.

    야광은 다이페닐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과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내부에서 이 두 물질이 만나 이산화탄소가 발생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빛을 내는데 이것이 형광물질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