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폐지줍는 고블린
폐지줍는 고블린24.01.28

흥선대원군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 공부를 하다가 흥선대원군에 대해서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쇄국 정책을 펼쳤던 인물인데

흥선 대원군은 왜 그렇게 타국.외국 문물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싫어했나요. 타협해서

좋은 건 받아들이고 하면 좋았을텐데 그렇게

융통성이 없는 인물이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대원군은 국내적으로 통치 체제 재정비와 민생안정, 대외적으로 통상 수교 거부(쇄국정책)을 추진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이이 문호를 닫고 서양과 통상하지 않았던 대외정책의 배경은 열강의 접근 방식이 무모한 것도 원인입니다. 집권초기 흥선대원군은 천주교에 대해 우호적이었고 프랑스와 수교하려는 생각도 있었으나 조정 관리들의 강경 반응과 오페르트도굴 사건, 양요 등이 쇄국을 강화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흥선대원군은 서양과의 통상을 거부하면서도, 서양의 과학 기술에는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는 서양의 무기 제조술을 도입하여 국방력을 강화하려고 하였고, 외국인 선교사들을 통해 서양의 의학과 천문학 등을 배우려고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흥선 대원군이 융통성이 없는 인물은 아니 였습니다. 중국이 아편전쟁과 영국, 프랑스의 침략으로 인해 나라가 위태로워져 나라의 문호를 개방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다른 나라가 조선을 침략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러한 정책을 실시했던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