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DTF !!
DTF !!

자외선 카메라로 보면 동물의 눈알이 반짝이는데요

자외선 카메라로 보면 동물의 눈알이 반짝이는데요.

사냥을 해서 죽은 뒤에도 눈을뜨고 있으면 여전히 반짝거리나요 반짝이는 게 뭐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의 눈알이 자외선 카메라로 반짝이는 현상은 반사체인 망막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망막은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자외선을 포함한 빛을 반사하여 반짝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동물이 눈을 뜨고 죽었을 경우에도 동일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의 눈이 자외선 카메라로 반짝이는 현상은 반사된 빛이 카메라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동물의 눈알에 있는 반사층인 타액막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반사층은 동물이 야간에 더 많은 빛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자외선에도 반사되어 반짝거리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동물이 사냥을 당해 죽은 후에도 눈이 열려있고 반짝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눈알에 있는 반사층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는 시체가 아직 신선하고 눈알이 건조하지 않아서 반사층이 여전히 존재하여 반짝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연에서 동물의 눈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주는데, 사냥감을 찾거나 야간에 움직이는 동물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동물의 생존 전략 중 하나로 발달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야간이나 어두운환경에서 촬영가능한 카메라는 적외선카메라입니다.

    모든물체로부터는 미량의 적외선이 항상 방출되고있는데, 이것은 열에너지가 높을수록 더 많이 방출됩니다.

    또한 눈과같은 점막질에서는 반사되는 빛이 더 많아 반짝거리게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늑대나 고양이와같은 야생동물들의 눈 안에는 반사판이라고 하는 조직이 눈안에 존재하는데 이때문에 더 빤짝거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동물의 눈알이 반짝이는 현상은

    주로 '반사 막'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조직인 타펫룸 루시덤 때문입니다.

    타펫룸 루시덤은 빛을 반사하여

    동물이 야간에도 더 잘 볼 수 있게

    하는 구조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냥을 해서 죽은 후에도 만약

    눈이 열려 있다면 타펫룸 루시덤은

    여전히 빛을 반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명이 없는 상태에서의 눈은

    자연스런 수분 손실로 인해

    물리적 특성이 변하게 되므로

    살아있을 때와 같은 반짝임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자외선 카메라로 관찰했을 때

    적외선이나 다른 빛과 섞여서

    반사될 때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눈의 해부학적 구조와

    관찰하는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외선 카메라로 동물 눈이 반짝이는 이유는 망막 뒤에 위치한 타페텀 루시덤이라는 특수한 조직 때문입니다. 타페텀 루시덤은 빛을 반사하여 망막으로 다시 보내, 어두운 환경에서도 시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사냥 후 눈을 뜬 동물의 눈이 반짝이는 것도 이 타페텀 루시덤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물이 죽으면 타페텀 루시덤의 기능도 멈추게 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반짝임이 점차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