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야하다 라는 말은 언제부터 사용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짧은 치마를 입거나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을때 야하다 라는 말을 쓰는데 야하다는 순우리말인가요 그리고 언제부터 쓰인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야하다'란 표현은 이렇습니다.

    '야하다'라는 말은 원래 성적으로 음란한 것에 한정해서 쓰는 말이 아니었습니다.

    무언가가 정도에서 벗어나 부정적인 의미로 눈에 확 띄거나 천박한 상태를 나타낼 때 '야하다'라고 합니다.

    결혼식장에 하객이 쓸데없이 밝은 색의 옷을 입고 왔다거나, 차분해야 할 자리에 번지르르하게 울긋불긋한 넥타이를 매고 갔다거나 쿠페를 몰고 왔다거나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의미가 점점 좁아져 20세기 말에 이미 거의 성적으로 음란하다는 데에나 쓰는 말이 되어버렸습니다. '엄한'이나 '야릇하다'도 음란한 걸 지칭하는 용례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편입니다.

    출처: 나무위키 '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하다는 조선시대 금속공예서 생겨난 말로 당시는 쇠붙이나 금붙이를 얇게 펴서 화려한 문양을 만드는 작업을 야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앞말 야 자가 한자 대장간 야 (冶)에서 온 것으로 차갑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고, 대장간에 가면 불에 달궈진 금속을 물에 냉각시키기 때문에 대장간 야 자가 붙습니다.

    야하다의 현재의 의미와 과거를 비교해보면 전혀 관련이 없고, 일본망 야사사이 에서 온 표현으로 이는 일본말로 얼굴 화장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야하다"는 순우리말이 아니며, 일본어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야하다"는 일본어에서 "아찔하다"라는 뜻을 가지며, 한국어로 들어온 이후에는 주로 성적으로 노출이나 야한 모습을 보일 때 사용되는 표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야하다"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의 문화와 생활 습관이 크게 유행하면서 한국어에 자주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야하다"라는 표현은 최소한 일제 강점기 이후부터 사용되어 온 비교적 최근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야하다'는 조선시대 금속공예서

    생겨난 말이다.

    당시는 쇠붙이나 금붙이를 얄게 펴서, 화려한 문양을 만드는 작업을 ‘야한다’로 불렀다. 지금도 장롱 등을 만들 때

    그 표면에 장식용 금속조각을 붙이곤

    한다.

    문제는 앞말 ‘야’ 자가 순우리말인가

    한자인가 하는 점이다.

    의외지만 이는 한자 ‘대장간 冶’(야)

    자에서 온 말이다.

    출처:중부매일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하다의 야는 순우리말일 수 있지만 한자 冶에서 왔다고 본다고 합니다.

    '예쁘다', '요염하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