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도리 라는 말은 원래 우리나라의 고유 명사인가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어떤 일들을 완료하면서 '단도리 짓다' 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는 데, 이 '단도리'라는 말은 원래 우리나라의 고유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라는 말은 보통 준비하다는 말로 많이 쓰입니다. 단도리 (人" (()))라는 단어는 원래 일을 해나가는 순서와 방법, 절차 혹은 그것을 정하는 일이라는 뜻의 일본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가 궁금하시군요.
단도리는 일을 해 나가는 순서, 방법, 절차 또는 그것을 정하는 일을 뜻하는 일본어라고 하네요.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작업 현장에서 주로 쓰이면서 작업 준비를 한다는 의미의 용어로 쓰이게 되었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는 일제시대의 잔재어로
순서, 방법, 절차 라는 뜻의 段取(だんど)り가
준비, 단속 등의 의미로 쓰였으며
이런식의 잔재어가 잔뜩 남은 건설노동자, 속칭 노가다꾼들 쪽으로 이어진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는 일본에서 온 말에 해당 합니다. 사전적인 의미는 ' 채비를 속되게 일컫는 말 '이라고 설명되어 있느데요. 여기서 채비는 어떠한 일이 되기 위해 필요한 물건이나 자세 등을 미리 갖추어서 차린다는 뜻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는 일본어입니다.
단도리(だんどり)
원래 일을 해 나가는 순서, 방법, 절차 또는 그것을 정하는 일을 뜻하는 일본어입니다.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작업 현장에서 가공, 조립 공정에 있어서 공작물, 공구, 지그 등을 소요의 상태에 설치하여 작업 준비를 한다는 의미의 용어로 일반적으로 쓰이게 됩니다. 단도리 작업이라고도 하고 또, 단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도리 시간이라고 부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는 일을 해 나가는 순서, 방법, 절차 , 그것을 정하는 일을 뜻하는 일본어 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だんどり)는 원래 일을 해 나가는 순서, 방법, 절차 또는 그것을 정하는 일을 뜻하는 일본어로 일제시대에 잔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だんどり.段取り)'는 일을 해 나가는 순서.방법.절차 또는 그것을 정하는 일을 의미하는 일본어입니다. 이 '단도리'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준비' '채비' '단속' 등의 뜻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도리는 우리나라의 고유명사는 아니며 일본말 입니다. 단도리(段取り, だんどり 로 일제 강점기 이후 남겨져 있는 단어로써 해당 단어의 사용은 지양하는게 좋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