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호기로운잠자리19
호기로운잠자리1921.10.11

자동차 기름은 언제넣는것이좋을까요?

경유차를 타고있는데 한칸정도 남았을때 가득 채우고 있는데 맞는건가요?신랑은 그렇게해야 한다고 해서요어디서 보면 몇만원씩 넣는게 좋다고 하는것도 본거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동차 주유 시기가 궁금하신가 보네요.

    우선 기름통 아래쪽에는 침전물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오일필터가 있기는 하지만 기름이 너무 없을 때까지 차량은 운행하게 되면 이 미세침전물이 엔진에 같이 들어갈 수도 있어서 보통 기름이 바닥나기 전보다는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주유하는 것이 좋기는 합니다.

    또 휘발유차는 디젤차량보다는 영향이 적지만, 디젤차량 같은 경우 엔진구조상 수분에 많이 취약한데 겨울철 성에 등으로 인해 기름통에 수분이 생길 수 밖에 없고, 기름통이 비어있는 만큼 성에 등으로 인해 수분이 더 많이 생기게 되어 너무 기름이 바닥날 때까지 타게되면 엔진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기름이 공급되게되어 차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도 생각됩니다.

    남편분은 보통 너무 기름이 바닥나지 않았을 때 주유를 하시는 것 같아서 나쁜 습관은 아니라고 생각되니 너무 뭐라고 안 하셔도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ㅎ

    부족한 답변이지만, 궁금하신 점이 잘 해결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저도 경유차를 타는 입장에서 답변을 드리자면,

    주유등 들어오기전엔 넣어주시는것이 엔진에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보통은 만땅으로 채우시는것보다

    한칸에서 반칸정도 남기고채우시는것이 연비에도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13

    저도 한칸 남았을때 넣습니다 휘발유차인지라 한번 주유할때 5만원씩 넣습니다 한칸 밑으로 내려 갈수록 기름통 바닥에 찌꺼기나 잔여물들이 엔진으로 유입 될규 있으므로 적당히 기름이 남았을때 주유 드리는걸 추천 드립니더


  • 휘발유의 부피는 온도가 1도씩 오를 때마다 팽창한다. 즉 휘발유의 부피는 0.11%, 경유의 부피는 0.08%씩 팽창하기 때문에, 낮은 기온에서 주유할수록 이익이다. 기온이 낮은 이른 새벽이나 아침에 주유하면 부피가 팽창하지 않은, 비교적 압축적인 용량의 기름을 넣을 수 있기 때문. 10도 차이가 난다면 20L 주유 시 220mL, 즉 가득 따른 일회용 종이컵보다 차이가 더 많이 나는 셈, 3만 원 주유시 약 1천 원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기름이 거의 떨어졌을 때 주유를 하면 연료가 탱크 다가에 부딪히며 산화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연료가 증발되어 버린다. 마찰에 의한 산화량을 줄이려면 주유 눈금이 한 칸 이상 남아 있을 때 주유하는 것이 좋다.

    보통 포만감 비슷한 기분 때문인지 기름을 가득 채우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가장 좋은 기름 충전의 양은 2/3 정도다. 기름을 가득 채우면 자동차의 하중이 여러 부분에 무리를 주게 되고, 필요 이상의 기름을 더 소모하게 된다. 단, 겨울철 주유시에는 반드시 반 이상 채워주는 것이 연료 파이프 계통의 동결 방지에 좋다.


  • 예전에 티비에서 보았어요 기름은 될수 있으면 아침에 넣어야 이읶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래야 같은금액보다 더 많이 들어간다구 했었구요 가득 넣는것보다는 3분의2 정도 넣는게 더 경제적이라고도 들었습니다 일단 기름도 무개가 나가기때문에 주유소 자주 가는게 현명할수도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