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4.09

올해 연말까지 금리는 더 오를까요?

올해 연말까지 계속해서 금리가 더 오를까요?

지금도 금리가 충분히 높은데 우리나라는 동결했지만 미국은 더 올릴 의사가 있는것 같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 연말까지는 금리가 오를꺼같습니다

    다만 급격하게 오르지는않고 0.25정도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올해 말까지 국내 금리는 1~2번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최근 미국 FOMC에서 금리를 올렸고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이는 더욱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 금리차이가 벌어질수록 외환시장에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에 방치하긴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도 이미 지방은행에서의 위기나 잡혀가는 물가를 볼때 금리를 최대 0.5 그 이상은 못올릴 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이후에 어떻게 움직일지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의 경우 연말까지 금리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와 고용난제 등 여러 가지 변수들이 존재하므로, 금리 인상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해 연말까지 우리나라에서도 금리가 더 올라갈 가능성은 있지만, 미국처럼 급격한 인상은 예상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금리가 오르는 경우, 주식 시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를 고려하는 분들은 금리 상승 가능성을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시장에서 많은 요인들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국내 금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승과 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경우, 금리 인상 여부가 더욱 빠르게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경제 회복이 가속화되는 등 여러 요인들이 겹쳐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변동에 대해 정확한 예측은 어렵지만,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미연준의 의사와 미국의 지표값의 추세만을 놓고 판단한다며 미연준은 앞으로 1차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보이며, 5.25%의 금리를 연말까지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달러환율이 안정되었고 내부의 부채리스크가 심각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기에는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연준의 기준금리 정점이 5.75%까지 상승하지 않는 이상은 동결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제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은행들의 위기감이 쉽사리 꺼지지않고 있고 물가가 조금은 낮아진 것을 보면 이번에 물가가 4%대로 나외준다면

    유지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이범은 동결로 가다 이번년까지 최고로 많이 올려도 0.5포인트 미만 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현저하게 벌어지는 등

    이에 따라서 1 ~ 2차례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