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17

비행기에서 나오는 흰구름같은건 어떤 과학적 현상으로 생기는건가요?

맑은날에 하늘을 보다보면 비행기가 날아가는데 비행기 뒤쪽에서 흰색으로 길게 구름처럼 계속 생기는걸보고 신기해했는데요. 이건 어떤 과학적인 현상으로 생기는지 궁금해서 문의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맞춤법 빌런
    맞춤법 빌런24.02.17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에서 나오는 흰 구름처럼 생긴 것은 과학적으로는 콘트레일(Contrail)이라고 불리는 현상입니다. 비행기가 날아가면서 엔진에서 배출되는 물증기와 미세한 입자들이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공기 중에서 빠르게 냉각되면서 구름 모양으로 변하는 것이죠. 이러한 현상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미세한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비행기가 날아가는 속도와 고도 대기 상태 등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콘트레일은 대기 중의 물증기와 입자들이 빠르게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행기가 지나간 뒤에는 서서히 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비행기가 날아가는 고도와 속도 대기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맑은 날에는 더욱 뚜렷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콘트레일은 대기 중의 물증기와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과학적으로는 매우 흥미로운 현상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현상을 비행운이라고 하며

    응결 흔적을 의미합니다.

    비행기가 높은 고도의 차갑고 습한 공기를

    통과할 때 비행기 뒤에서 볼 수 있는

    구름 같은 형태입니다.

    비행기가 공중을 날 때 그 뒤에 응축된

    수증기의 흔적이 생깁니다.

    이 증기는 비행기 엔진에서 연료가

    연소되어 수증기와 기타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생성됩니다.

    수증기가 대기 중의 차가운 공기와 혼합되어

    작은 물방울로 응결됩니다.

    이 물방울이 비행운을 구성합니다.

    비행운은 비행기가 배기 가스의 수증기가

    응축될 수 있는 온도보다 낮은 공기

    속을 비행할 때 형성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기가 낮은 고도보다 훨씬

    차가운 높은 고도에서 발생합니다.

    수증기가 응결하는 온도를 이슬점이라고 하며 공기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행기가 이슬점보다 낮은 공기 속을 비행할 때

    배기 가스의 수증기가 먼지 염분 오염 물질과 같은 공기

    중의 작은 입자로 응결됩니다.

    이것은 비행기 뒤에서 볼 수

    있는 구름 방울의 흔적을 만듭니다.

    비행운은 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물방울과 얼음

    결정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비행운의 모양과 크기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 비행기가 비행하는

    고도 사용되는 엔진과 연료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높은 고도에서 형성된 비행운은

    더 얇고 줄무늬가 많은 경향이

    있는 반면 낮은 고도에서 형성된 비행운은

    더 두껍고 푹신할 수 있습니다.

    비행운은 바람과 날씨 패턴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비행 경로에 강한 바람이 불면 비행운의 모양이 왜곡되어

    더 퍼지거나 조각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에 구름이나 안개와 같은 다른 기상 시스템이

    있는 경우 비행운과 상호 작용하여

    모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비행운은 항상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너무 건조하거나 비행기가 너무 높이 날면 빠르게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적절한 조건에서는 비행운을

    수 마일 동안 볼 수 있으며

    몇 분 동안 계속 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비행운은 비행기가

    높은 고도의 차갑고 습한 공기 속을

    비행할 때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이는 배기 가스의 수증기가 공기 중의 작은 입자로

    응축되어 비행기 뒤에서

    볼 수 있는 구름 방울의 흔적을

    만들 때 형성됩니다.

    비행운의 크기 모양 수명은 온도 습도 고도 바람 패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지나가면서 하얀 구름이 생기는 것을 구름운 이라고 하는데요

    비행기 엔진에서 나오는 뜨거운 열기가 차가운 공기가 만나면서 생기는 수증기형태의 구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맑은 날 하늘에서 비행기 뒤쪽에 길게 생기는 흰색 구름은 비행기가 엔진에서 배출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주변의 찬 공기와 만나 응결되어 생기는 구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에서 나오는 흰 구름은 항로구름 또는 콘트레일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항공기 엔진에서 배출된 물증기와 먼지가 대기 중에서 응결되어 형성되는 구름 현상입니다.

    항공기 엔진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산소와 공기 내의 수증기가 합쳐져 엔진 배기구에서 나오면서 뜨거운 상태인데, 이것이 고온과 저압의 환경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서 주위의 찬 공기와 만나게 됩니다. 이에 의해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이 형성되어 구름을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형 과학전문가 입니다.

    비행기 날개의 굴곡으로 위아래 공기의 속도가 달라지는데요.

    갈라졌던 두 공기가 날개의 끝부분에서 다시 만나면서 부분적으로 기압과 기온이 모두 내려갑니다.

    이때, 수증기가 얼어 비행운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