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별이 빛을 낼 수 있는 원리와 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그 별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별이 빛을 낼 수 있는 원리와 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그 별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빛을 낼 수 있는 원리는핵융합 입니다.

      핵융합은 두 개 이상의 원자핵이 결합하여

      더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반응을 말합니다.

      이 반응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태양과 같은 별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별의 중심부에서는 수소 원자핵이

      헬륨 원자핵으로 융합되는 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 에너지가 별의 빛과 열을 생성하는 원동력입니다.

      우리는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의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빛의 속도는 초속 30만 킬로미터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알파 케타우르스까지는

      약 4.4년이 걸립니다.

      지구에서 알파 케타우르스를 볼 때는 실제로

      그 별이 4.4년 전에 빛을 발했을 때의 모습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