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3.02

달에 토끼가 방아를 찢는다는데 무슨 말인가요?

어럈을 적부터 달나라에서 방아를 찢는고 있는 토끼가 있다는 말을 많이 했는데 실제로 토끼가 달나라에 사는 간 아닐텐데 달나라와 토끼는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는 크레이터라고 라는 운석충돌 구덩이가 많아요~ 그리고 물은 없지만 달의 바다라고 불리우는 어둡게 보이는 낮은지대도 있구요.. 근데 그것을 지구에서 보면 토끼 모양으로 보이는것이죠(사람마다 관점의 차이는 있지만...)

    그래서 그런것이 구전되어 달토끼라는 이야기가

    나왔죠~





  • 안녕하세요. 황석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무늬 모양을 보면 토끼가 방아찧는 모양입니다. 달의바다의 검은색 무늬를 보고 조상들이 달토끼 모양이라고 상상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라경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는 수많은 크레이터(구덩이)가 있습니다.

    또한 달은 태양의 빛을 반사시켜 밝게 보이는것인데요.

    태양빛이 잘 들지않는 크레이터들은 어둡게 보이고 다른부분들은 밝게보이며 어떤 형태가 있는것 처럼 보입니다.


    또한 달의 공전주기와 지구의 자전주기가 같아 지구에서는 달의 한쪽면만 보이는데 보이는 면의 크레이터 모양이 토끼를 닮았다고 생각했던것이지요.


    그래서 옛날이야기속 달토끼가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나라라는 나라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상 속의 나라이며, 토끼가 달나라에서 방아를 찢는다는 이야기는 귀엽고 재미있는 동화나 이야기에서 자주 나오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이야기에서 토끼와 달나라가 함께 언급되는 것은, 달과 토끼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달은 우리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천체 중 하나이며, 달을 대상으로 한 많은 전설과 이야기가 전 세계에서 전해져 왔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에서는 토끼가 달을 찾아가는 이야기가 유명합니다.

    이러한 전설과 이야기에서 달은 종종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만월대첩에서 한 소국의 군대가 전사하면서 월식이 일어난다는 이야기나, 중국 전설인 차오유월설에서는 달이 바람에 날려가 불명한 곳으로 사라지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따라서, 토끼가 달나라에서 방아를 찢는다는 이야기는 토끼와 달의 관계에서 출발한 이야기로, 상상 속에서의 이야기나 동화에서 자주 언급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순히 달을 자세히관찰했을 때 달에있는 지형이나 달토양성분에 의한 굴곡, 음영등이 토끼가 절구를찧는 모양을 닮았다고해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토끼 애기는 달이 보여지는 모습이 마치 토끼가 방아를 찢는것처럼 보이다 보니 오래전부터 그렇게 유래가 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냥 인류가 만들어낸 이야기일 분입니다. 이를 통해서 달에 더욱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고 여러 창의적인 이야기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즉 달 표연의 비슷한 형상을 보고 추측해서 만들게 된겁니다. ^^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에 토끼가 방아를 찍는다"는 말은 옛날에 많이 사용되었던 표현 중 하나로, 보름달을 보면 달의 모양이 토끼가 방아를 찍는 것과 비슷하게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어왔으며, 한국에서도 토끼가 방아를 찍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름달이 토끼의 모양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달에 토끼가 방아를 찍는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전설적인 이야기일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옛날 부터 사람들이 달에는 옥토끼가 살고 방아를 찧는데 그 방아에는 불로초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래되어 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