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비닐을 세게 움켜쥐면 구겨지는데 그 원리가 뭔가요??

비닐을 보면 처음 샀을때는 다 펴져 있어서 주름이 없는데요. 움켜 지거나 하면 주름이 생겨서 구겨지는데요.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비닐을 세게 움켜쥐면 구겨지는데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닐은 유연한 플라스틱으로, 일반적으로 평면 상태에서는 매우 부드러워서 주름이 없습니다. 그러나 비닐을 세게 움켜쥐거나 구부리면, 비닐 분자 간의 결합이 약화되면서 비닐의 구조가 변형됩니다. 이 때, 비닐의 표면에는 구부러진 주름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닐의 유연성 때문에 발생합니다. 비닐 분자는 서로 이웃한 분자와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비닐은 구부리거나 움켜쥘 때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비닐을 구부리거나 움켜쥘 때, 비닐 분자 간의 마찰력도 증가하여 주름이 더욱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플라스틱은 분자 간 결합이 강력하여 구부리거나 움켜쥐어도 변형이 적게 일어납니다. 반면에, 일부 다른 플라스틱은 비닐과 같이 유연하여 구부리거나 움켜쥐면 쉽게 변형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닐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고분자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고분자는 유연성이 있으며,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주위 분자와 마찰을 일으켜 분자 간 결합이 끊어져 구겨집니다. 이러한 구겨짐은 고분자의 내부 구조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인해 나타납니다.

    폴리에틸렌 분자는 긴 체인 모양을 띠고 있으며, 이 체인 모양이 늘어나거나 축소함으로써 비닐의 물성이 결정됩니다. 움켜쥔다는 것은 체인 모양을 일시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비닐이 구겨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닐이 구겨지는 것은 고분자 분자 간의 마찰로 인한 체인 모양의 일시적인 변경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닐은 열에 민감한 소재이기 때문에, 비닐을 움켜쥘 때 손이나 손가락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구겨지는 것입니다. 손가락이나 손으로 비닐을 움켜쥘 때, 손과 비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열이 비닐을 변형시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닐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소재로 제작됩니다. 이러한 고분자 소재는 분자 사이의 결합이 강하고,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소재는 고체 상태에서는 자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압력이 가해지면 그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닐은 유연한 폴리머(polymer) 소재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비닐이 처음에는 평평하게 되어 있지만, 그것을 움켜주거나 구겨서 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비닐 소재 내부의 분자 간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비닐을 구성하는 분자는 긴 체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 체인은 서로 끼여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평평하게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닐을 움켜주거나 구겨서 압력이 가해지면, 분자들 사이에 있는 강한 분자력이 변형되면서 부드러웠던 비닐의 형태가 변형되며 주름이 생깁니다. 이렇게 구겨진 비닐은 처음의 평평한 모양으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름이 유지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종이가 접히면서 주름이 생기듯,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비닐이 손상되어 주름이 접히게되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름이진다는것은, 사슬또는 그물구조에 변형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구변형의경우 주름을 펴도 다시 돌아오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