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03.17

우리나라의 최초 과학자가 누구인지 알고 싶어요

알면 알수록 과학은 정말 신기한데요 이런 과학을 처음 연구하게 된 과학자 중에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과학자가 누구인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장영실은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입니다.

    기생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동래현의 노비였습니다.

    하지만 농기구, 무기 등을 고치고 만드는 솜씨가 뛰어난 것을 인정받게 되면서 그는 세종대왕의 명을 받아 중국에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1423년(세종 5년)에 왕의 특명으로 상의원 별좌라는 벼슬을 받아 노비의 신분에서 벗어나 궁중 기술자로 활동하였습니다.

    그 후 벼슬이 올라 행사직이 되었고 1432년 중추원사 이천을 도와서 간의대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의 제작을 감독하였습니다.

    또 1433년에는 호군에 오르고 혼천의 제작에 착수하여 1년 만에 완성하였으며 이듬해 동활자인 경자자의 결함을 보완한 금속활자 갑인자를 만드는 일을 지휘 감독했습니다.


    이어 1434년에는 우리 나라 최초의 물시계인 자격루를 완성하고 1437년에는 소간의와 대간의를 비롯하여 해시계인 현주일귀, 앙부일귀, 정남일귀 등을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잘알려진사람은 조선시대의 장영실로, 많은 데이터들을 남기고 기록했던 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 대한민국 최초의 과학자는 정도전(Chung Do-ju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17세기 후반 조선 시대에 살았으며, 수학과 천문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성리학(性理學)'을 세종대왕에게 가르친 것이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철학이며, 성리학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정도전은 지리학에서 지도를 제작하고,

    천문학에서 일식과 월식의 예측 등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과학자는 고려시대의 성리학자인 이이(李珥, 1536~1608)입니다. 이이는 '동양의 뉴턴'이라는 칭호를 받을 만큼 수학, 천문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조선 초기 지리학의 기초를 다진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이는 현대적인 과학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많은 저작을 남기고, 그 중에서도 '태초산수록(太初算數錄)'라는 대표적인 수학서적을 저술했습니다. 이이의 과학적 업적은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동양 과학사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최초 과학자는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고대 신라 시대의 성리학자인 이이(李異, 이이공, 6세기 초)가 대표적인 과학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이는 천문학, 지리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의 저서 '성리대강(性理大綱)'은 대한민국의 천문학, 지리학, 수학 분야의 기본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이의 연구는 중국의 성리학 연구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중국의 과학 기술의 발전을 뒷받침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최초 과학자는 신라 시대인 6세기에 활동한 의천왕(義天王)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의천왕은 천문학, 수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으며, 그의 업적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등 많은 역사서에서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의천왕은 천문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예측하였으며, 천문학 연구를 위해 천문대를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업적은 당시에는 매우 혁신적이었으며, 이후 다른 과학자들에게도 큰 영감을 줬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자란것이 어떤 임명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가 최초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나라의 최초 과학자는 정약용선생님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약용은 조선 시대의 유명한 인물로, 종신교육제 세운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조선 시대에는 이과 분야에서 유능한 과학자들이 많이 나왔으며, 고려 시대에도 기초과학에서 성과를 내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태규(李泰圭, 1856~1926)는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르는 시기를 살아간 과학자이자 교육자입니다.

    이태규는 서양과 중국의 수학과 과학서적을 읽고 연구하면서 수학, 물리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이론물리학에서는 수리물리학적 방법을 도입하였고, 지구과학에서는 조선 최초의 지진계를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조선의 교육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여 조선 최초의 교육기관 중 하나인 평민학교와 고종의 박물관 설립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이태규는 조선 후기의 정치적 혼란과 문화적 퇴폐기에 놓인 상황에서 조선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그의 기여는 현대 과학기술 발전에 이어지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를 조선의 근대적 과학의 아버지로 여기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