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보람찬큰고래112
보람찬큰고래11224.02.19

사랑니 발치하고 먹는 약 부작용인가요?

사랑니 발치하고 병원에서 준 약 먹은 뒤로 침이 시도때도없이 생성되고 심지어 끈적해요🥲 입 안이 텁텁한 것 같기도 하고 마르는 느낌인 거 같기도 하고? 혹시 사랑니 발치하면 처방해 주는 약 중에 침과 관련된 부작용이 있는 약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어떠한 약 성분인지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약들은 부교감신경과 연관성이 있어 타액 분비량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약 복용으로 인한 불편감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약 복용을 중단하면 대부분 좋아지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고혈압약, 당뇨약, 우울증약, 항응고제, 항바이러스제 등은 구강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랑니 발치를 하고 나서 먹는약은 항생제 위장약 소염진통제 입니다. 침과 관련된 부작용은 특별히 잇진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 발치후에 항생제 및 소염진통제가 일반적으로 처방이 되며, 침생성과는 영향을 주는 약이 있지는 않습니다. 현재 발치부위에서 피가 묻어나와 침이 다소 점도가 높아질수는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를 발췌하고 먹는 대학에는 진통제와 항생제 그리고 위장약이 들어있습니다. 이 약들은 타액을 자극하거나 하지는 않기 때문에 약의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나 발치 등으로 인해서 잇몸에 자극이 되었다면 타액이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사랑니 발치 후 처방되는 약의 종류는 진통제, 항생제 그리고 위장보호제입니다. 흔한 부작용은 속쓰림이나 구강건조증입니다. 오히려 침이 덜 생성될 수 있는 부작용은 있을 수 있는데 침 분비가 과다하게 되는 경우는 다른 원인이 있을 확률이 큽니다.

    침 분비를 과다하게 하는 약물은 부교감신경계 작용 약물 등이 대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