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7

사람마다 자신에게 맞는 색깔이 있다는게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사람마다 자신에게 맞는 색깔이 있나요?


그렇다면 자신에게 맞는 색깔이 있다는걸 증명한 과학자는


누구이며


과학실험은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경태 전문가blue-check
    김경태 전문가23.05.18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에게는 다양한 색깔이 있지만, 각 사람이 자신에게 맞는 색깔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과학적으로는 색깔을 인식하는 방법은 시각 체계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리적인 구조입니다.

    인간의 눈은 로드콘이라는 세포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로드콘 세포는 빛의 파장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으로 구분되며, 이들이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분합니다. 이들 색상 체계는 인간의 뇌에서 처리되어 색상을 인식하게 됩니다.

    그러나, 인간의 시각 체계는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인 요인, 눈의 건강 상태, 뇌와의 상호작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마다 색상을 다르게 인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문 경우이며, 대체로 모든 사람들이 색상을 비슷한 방식으로 인식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색각은 개인의 시각 체계와 뇌의 처리 방식에 영향을 받습니다. 각 사람의 눈과 뇌는 빛의 파장을 감지하고 해석하는 고유한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 체계의 차이로 인해 개인마다 색깔에 대한 지각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색깔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도 개인마다 구성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이 역시 색깔 인식의 차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퍼스너 컬러는 갑자기 만들어진것이 아닙니다.

    차츰차츰 발전되어 오다가 퍼스널 컬러라는 개념이 현재 쓰이고 있는 것입니다.

    보색계념이나 먼셀 색 체계등이 예전부터 존재 했었습니다.

    과학적인 실험이나 한 개인의 발견이 아닌 기존에 존재해 왔던 여러 개념들을 사계절이나 피부톤에 맞는정도로 사용된것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지금의 퍼스널 컬러가 된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니오. 퍼스널 컬러에 대한 과학적인 증명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개인의 감각과 취향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는 주관적인 개인의 취향과 스타일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개인의 자신감과 편안함을 위해 자유롭게 즐기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