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에 새들이 매달려있는데 감전이 안되는이유?
병원치료 후 멍하니 옆을 쳐다보는데 전선에 새들이 쫙 일렬로 매달려있는 모습을 봅니다
새들이 감전이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피복이 잘 되어 있어서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은 전류가 몸에 흘러서 충격을 받는 현상입니다. 전선에 올라있는 새의 몸통은 전류가 흐르기에 저항값이 매우 큰 상황이고, 전선의 저항값은 0에 가까울 정도로 낮습니다.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발생해야 하는데 새가 전선위에 앉아 있을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구조가 되고, 두 다리 사이의 전선에는 전위차가 없기 때문에 몸통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저항값이 높고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는 새의 몸통으로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감전되지 않게 됩니다.
새들의 저항이 전깃줄의 저항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새들의 두 다리가 전깃줄에 앉게 되면 병렬 연결이 형성됩니다.
병렬 연결이 되면 저항이 작은 쪽에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됩니다.
사실상 전깃줄의 저항이 0이기 때문에 새들는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깃줄 두 줄 사이로 앉게되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은 몸의 수분이 거의 없기때문에 저항이 엄청 큰 물체입니다. 그로인해 몸속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감전의 위험이 없어지게 됩니다~ 그로 인해 안전하게 있을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위차’입니다. 전위차는 다른 말로 전압이라고도 하죠.
감전은 전류가 몸에 흘러 충격을 느끼는 현상입니다. 새의 저항은 매우 크지만, 전선의 저항은 0에 가깝습니다. 전류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요. 따라서 대부분의 전류는 새를 관통하지 않고 전선으로만 흐르게 되는 것이죠. 옴의 법칙에 따르면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려면 전위차가 있고 저항이 낮아야 합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죠.
그러나 새가 감전으로부터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한 발은 전선에 다른 한 발은 다른 물체에 닿아있다면, 전선과 물체 이 둘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전류가 새의 몸속으로 흘러 들어가 감전되는데요. 예를 들어, 전선에 앉은 새의 몸 일부가 지면과 연결된 전봇대나 철탑에 닿는다면 그 순간 두 물체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고, 전류가 흘러 새는 죽게 됩니다. 이에 대해 한국전력공사의 관계자는 “전선은 고압전선을 기준으로 22900V이고, 지면은 거의 0V에 가깝다”라며 “22900V의 전위차 때문에 전류가 흘러 새가 감전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출처 : 채널PNU(https://channelpnu.pusan.ac.kr)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에 매달려 있는 것은 피복이 잘 되어 있어서 감전이 안 되는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는 그들의 날개와 몸체가 각각 다른 전선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새의 몸체와 날개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분리되어 있어 감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선이 아주 튼튼해서 사람 몸무게를 지탱할 정도라면
사람이 허공에 전선만 잡고 매달려 있음 감전되지 않아요.
감전되는 경우는 옆에 있는 전선과 접촉하거나
땅에 접촉하는 경우이죠
왜 그런가........전선을 잡으면 사람, 새의 몸에도 전압이 가해지긴 합니다. 준비만 되면 전류가 흐를 테죠. 어떻게 보면 사람이 전선의 일부가 된다고 봐도 되죠.
하지만 새의 몸에 피해를 주는 건 전류에요. 자 그럼 생각해 봅시다
전선의 한쪽 끝을 전원에 꽂으면 전선에 전압이 가해지지만, 그 전선의 다른 쪽 끝이 가전제품에 붙지 않는다면 전기는 흐르지 않습니다.
전선의 끝에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를 붙여도 마찬가지 다른 가전제품에 그 끝부분이 닿지 않으면 전류는 흐르지 않습니다.
전선의 끝에 붙인 물체가 새의 몸이고, 다른 가전제품이 땅이라면? 새가 땅과 전선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다면 전류는 흐르지 않고 새는 안전하게 살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