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코로나 이후로 우리 경제가 많이 힘든건가요?

코로나때 움츠러들었던 경제가 아직도 회복이 어렵다고 하는데, 실제로 그런건지요? 코로나 이후 경제 상황이 실제로 안좋아진건가요? 아니면 그때 돈을 많이 풀었던게, 지금 화가 된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로나시기에 소상공인이 어렵고 경제가 어려웠지만 대출을 해주고 돈을 풀다보니

      소비가 돌았습니다

    • 하지만 현재는 돈을 풀지 않고 있고 부채상환도 시작을 했기 때문에 모두들 어려움에 빠진 상황입니다.

    • 실제로 현실 경제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소상공인의 경우에는 코로나 시 침체되었던 경기가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코로나 때 빌린 자금의 이자도 내야하고 원금 상환 주기가 돌아오고 있지만, 당시 침체되었던 경기가 회복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채무 부담이 높은 상태입니다.

    다만, 코로나 시기 많은 유동성을 공급했다는 것이 경기 회복에 화가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이후 막대한 재정정책을 시행함으로써 그 부담이 지금까지 가중되며 고금리, 고물가가 이어지다가 최근에서야 그나마 물가는 조금 가라앉았다고 하지만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입니다.

    또한 국내외 정치 리스크로 내수시장이 약하고 수출위주의 경제 성장동력을 가진 우리나라는 더욱 타격을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로나 이후로 우리 경제가 많이 힘든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우리 경제 특히 내수가 많이 하락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는 정책의 부재로 인해서 더욱 그 나쁜 것이

    더 나빠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요 선진국도를 비교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비슷한 규모로 돈을 풀었고 금리도 비슷했고

    그러나 성장률만 우리나라가 떨어집니다 제 기억에도 2년간 평균 세계 경제성장률에 절반 이하로 한 것으로 압니다 또한 경제가 힘들다라고 하기에는 부자들은 잘 살았고 서민들은 더 못 살았습니다 현재 정책이 부자 감세를 하는 보수 정당이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경기침체가 코로나 연장선상인건 맞는거 같습니다 코로나 시절 경기침체로 우리나라도 유례없는 기준금리 인하를 연달아 단행했고 코로나 지원금으로 돈을 엄청 뿌린게 결국 물가상승으로 이어졌고 서민들의 생활물가는 지금도 어렵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소득이 늘어나는것도 아니고 자영업자들은 더욱더 힘든 상황의 연속인거죠

    내년에는 제발 좀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예 맞습니다.

    코로나때 너무 돈을 많이 풀어서 그 뒤로 물가상승이 너무 크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물가를 잡으려고 고금리 정책을 펴다보니 내수경제가 너무 악화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저 이외에 전문가들이 판단하기에 코로나만큼 경기가 안좋다고 합니다.

    일반시민들이 느끼는 물가도 많이 올랐고 정세도 혼란스러워 그렇게 느끼는 거 같습니다.

    코로나 시기 많은 돈을 푼 것도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