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양도소득세 이미지
양도소득세세금·세무
말끔한하마237
말끔한하마23720.12.04

내년부터 코인에 세금을 부과한다던데 정보를 알수있나요?

코인지갑에 갖고있는것만으로 세금을 부과하는것인지

아니면 거래를 하고 수익이 났을때 거래수수료처럼 세금을 부과하는건지 알고싶네요

그리고 내년부터 세금을 부과한다는게 확정된 사안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12.06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설민호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지갑에 소유하는 것만으로는 세금이 과세되지 않습니다.

    2. 21.10.1.이후 양도부분에 대해서는 기타소득으로 과세될 여지가 있습니다. 아직 세법개정안으로서 확정되지는 않았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최영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과세는 22년 1월 1일 이후부터 과세하기로 연장되었습니다.

    연간 250만원이 초과하는 매매차익에 대해 기타소득으로 과세합니다. 따라서 수익이 났을때 과세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암호화폐의 세금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

    암호화폐의 과세는 특금법의 시행으로 암호화폐 과세가 될 예정이며, 이는 내년 10월부터 시작됩니다.

    암호화폐의 과세 기준은 연간 250만원 이하의 투자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즉, 과세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를 초과한 투자 수익금에 대해서는 20%의 양도세를 부과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신고제로 운영되며, 국내 거래소 및 해외거래소에서 매매한 모든 암호화폐 수익에 대해 동일 적용됩니다.

    또한, 해외거래소의 거래도 과세 신고 기준에 해당되며, 과세당국에 꼭 신고를 하셔야됩니다. 만약 신고를 하지 않은 것이 확인이 되면 가산세, 과태료 등을 내야 됩니다. 무신고는 20%, 부정행위는 40%(역외거래는 60%)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이렇게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세금을 거둬들이면서 암호화폐의 제도화로 보셔도 될 것 같으며, 그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바뀌고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질문에 도움이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