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2.14

지구과학 용어 중에 지각평형설(isostasy)는 무엇인가요?

지구의 시스템을 연구하는 것이 지구과학인데, 용어가 어려운 것이 많네요.

그 중에 지각평형설(isostasy)은 어떤 내용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각은 지표면 아래쪽에 큰 지층이 있는데 이는 밀도가 더 커서 그 위에 떠 있다는 이론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각 평형설은 지각이 밀도가 큰 하부층, 즉 연약권에 떠 있으면서 중력적인 평형을 유지한다는 가설입니다. 히말라야 산맥에서의 연직선의 편차를 설명하기 위해 조지 비덱 에어리와 존 헨리 프래트가 주장한 설로, 후의 더튼이 지각평형설이라 명명하였다고 합니나.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생각을 조금만 하면 그리 어렵지는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대륙의 지각이 침식되면 위쪽 부분이 깎여나가기 때문에 가벼워 지죠.

    그러면 가벼워 진 만큼 지각은 다시 융기하게 될 것입니다.

    지각평형설은 지각이 밀도차에 의하여 맨틀 위에 떠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비유하기 위해 책에는 물에 나무 도막을 띄우는 것이 나오죠.

    물에 나무 도막을 띄우면 짧은 나무 도막은 긴 나무도막에 비해 잠긴 깊이나 물 위로 나와 있는 깊이가 짧습니다.

    또는 짧은 나무 도막이 있는데 그 위에 똑같은 나무 도막을 올리면 아래있던 나무 도막은 가라 앉죠.

    이 현상은 대륙 위에 무언가가 퇴적 되어 대륙이 무거워져 침강하는 현상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올렸던 나무 도막을 다시 빼내면 아래 있던 나무 도막이 다시 떠오르죠.

    이 현상은 질문자님 께서 질문하셨던 현상과 마찬가지로 대륙이 침식으로 인해 가벼워지는 경우입니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대륙의 지각이 침식되어 가벼워지면 지각 평형설에 의해 지각은 융기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각평형설이란,,

    산지 아래에서는 지각이 두껍고 해양 아래에서는 지각이 얇습니다.

    이것은 빙산이 물 위에 떠 있는 것과 같은 원리로서

    지표의 굴곡에 관계없이 지하의 일정한 깊이에서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해서

    높이가 서로 다른 지각이라도 서로 균형을 이루려고 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지각의 균형을 지각 평형설(isostasy)이라 합니다.


  • 깊은 지하에 있는 경계면(보상면, Compensated Surface)에서는 그 위의 질량이 동일하여 압력이 같게 되어 전체적인 균형이 유지된다는 가설입니다.

    즉, 지각이 밀도가 큰 하부층인 연약권에 떠 있으면서 중력적인 평형을 유지한다는 가설입니다.

    따라서 산맥 아래의 물질은 밀도가 작고 부력에 의해 맨틀 위에 높게 떠 있으며,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해양지각은 대륙지각에 비해 매우 얇다는 지각평형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각평형설(isostasy)은 지각의 밀도와 높이에 따라 지각 표면이 수직으로 움직이며, 평형 상태에 도달하려는 지각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지각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지각의 밀도가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지각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이러한 밀도 차이에 따라 지각 표면이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지각 내부의 압력과 깊이에 따라 지각이 균형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지각 표면의 지형학적 변화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