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총명한퓨마17
총명한퓨마1723.09.09

안개와 구름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구름이나 안개 모두 공기중의 수증기가 뭉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순히 지면 가까이에 있으면 안개이고 높이 떠 있으면 구름인가요?

아니면 다른 차이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개와 구름은 모두 수증기가 응축하여 물방울로 형성되는 현상이지만, 그 형성되는 위치와 조건에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안개와 구름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1. 형성 위치:

      • 안개(안개): 안개는 지표면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서 몇 미터에서 몇 백 미터 높이에서 발생하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에서 일어나는 지형 또는 기상 조건과 상호작용하여 응축되는 것입니다.

      • 구름: 구름은 지표면에서 상당히 높은 고도에서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수백 미터에서 몇 천 미터 이상 높이에서 발생하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상승 기류와 결합하여 응축되는 것입니다.

    2. 형성 조건:

      • 안개(안개): 안개는 주로 밤이나 새벽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공기가 냉각되고, 상대습도가 상승할 때 발생합니다. 지표면 근처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가시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 구름: 구름은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습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상대습도가 100%에 가까워질 때 응축되어 형성됩니다. 구름의 형태와 높이는 다양한 기상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3. 가시성:

      • 안개(안개): 안개는 가시성을 저하시키므로 안개가 발생하면 시야가 제한됩니다. 안개가 두꺼울수록 시야가 좁아지고 안개가 희박할수록 가시거리가 길어집니다.

      • 구름: 구름은 대부분 고도에서 형성되며, 지표면의 가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구름이 밝거나 어두운 경우에도 가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요약하면, 안개와 구름은 모두 수증기의 응축 현상이지만 형성 위치와 조건, 그리고 가시성에 대한 영향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안개는 지표면 근처에서 형성되며 가시성을 저하시키는 반면, 구름은 상당히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며 지표면 가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구름은 상승기류를 타고 만들어지지만 안개는 바람이 세지 않고,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안정된 상태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위치상으로 보면 아래 부분이 지표면에 접해 있고 시정이 1km미만이면 안개, 떨어져 있으면 구름입니다.

    다만 위치상의 구분으로 보면 산 중턱의 구름은 지상에서는 구름이고, 산을 오르는 사람에게는 안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안개와 구름 둘 다 수증기가 응결되서 생기는 작은 물방울들인데요. 둘의 차이는 떠있는 위치입니다.

    높은 하늘에 떠있으면 구름이고 지표면 위에 떠 있으면 안개라고 부릅니다.

    재밌는 사실은 산 정상 위에서 아래로 깔린 것을 바라보면 안개같지만 산 아래에 사는 사람들이 바라보았을때는 구름이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와 구름은 모두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안개는 지표면 근처의 대기 중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로 구성된 현상입니다. 안개는 지표면을 뒤덮어 시야를 가리고 빛을 흡수하여 가시성이 낮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높아져 응결이 발생하거나, 지표면과 주변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개는 일반적으로 저기압이나 안정적인 기상 조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된 수증기 또는 얼음 입자의 집합체입니다. 구름은 대기 상에서 다양한 고도에서 형성되며, 다양한 모양과 높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구름은 태양 또는 달의 빛을 반사하거나, 수증기를 포함하여 강수로 변할 수 있습니다. 구름은 기상 조건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으며,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9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와 구름은 모두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현상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위치: 안개는 지표면 근처에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가까운 곳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됩니다. 반면에 구름은 대기 상층에서 발생하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됩니다.

    2. 밀도: 안개는 비교적 밀도가 높고 짙은 수증기로 인해 시야를 탁하게 만들어주는 현상입니다. 구름은 보다 희고 가벼운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체로 하늘에 분산되어 넓게 펼쳐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3. 높이: 안개는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근접한 곳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 위치합니다. 반면에 구름은 대체로 상층 대기의 다양한 고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낮은 고도부터 매우 높은 고도까지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질 수 있습니다.

    4. 시간: 안개는 일반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로 새벽이나 이른 아침 시간대에 자주 나타나며 해뜨면서 해소되거나 태양열의 영향으로 조금씩 사라집니다. 반면 구름은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존재할 수 있으며, 날씨 조건과 기타 요인들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5. 조건: 안개는 주로 습한 환경과 저온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바닷가나 강 주변 등 습윤한 지역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구름의 경우에는 습윤한 환경과 함께 다양한 기상 조건(예: 상승 기류, 찬 기류 등)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안개와 구름은 모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기는 기상현상입니다. 하지만, 안개는 지표면 가까이에 형성되고, 구름은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안개는 지표면이 냉각되면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깁니다. 따라서, 안개는 주로 밤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하며, 낮에는 해가 떠서 지표면이 가열되면서 사라집니다.


    구름은 지표면에서부터 몇 천 미터 높이의 대기 중에서 형성됩니다.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에 의해 형성됩니다.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가 내려가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둘다 동일하게 수증기의 기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적인 생성물입니다. 단지 산중턱이나 지표면에서 가까우면 안개. 하늘 높이 형성되면 구름이라고 부르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