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24시간이라는 개념은 역사상 누가 만들어서 보편화된건가요?
문득 하루가 24시간이란 개념은 역사상 누가 가장 먼저 만들어거 하루를 이렇게 살게 되었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니런 개념자체가 정립되어온 역사도 함께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엄지 손가락을 제외하고 4개의 손가락에 3마디씩 합해 12마디를 셀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셈법을 하면 한 손에 12개를 셀 수 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주인공인 수메르인들이 아마도 이 손가락 셈법으로 하루를 12*2=24 시간이 라는 설이 있습니다. 이 손가락 셈법은 12진법의 기원이며, 24시간에 활용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낮과 밤을 각 12시간으로 나누었는데, 그 배경은 데칸별이라고 합니다. 데칸별은 하루밤 동안 12개의 데칸별이 뜨고, 각 별이 한 시간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이집트 인들은 이 데칸별을 보고 밤 시간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집트도 수메르인들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봅니다.
결과적으로 고대 사회에는 12진법을 이용하여 밤과 낮을 12시간으로 나누어 현재의 24시간의 기원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이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된 것은 중세 유럽 이후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4시간의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습니다.
수메르인들의 손가락 셈법으로, 손가락 개수가 10개이므로 10진법을 사용했고 약 4000년 전 수메르인들은 손가락의 마디를 세어 더 많은 셈을 할수있게 됩니다.
4000년 전 사람들이 수를 세는데 손가락 마디를 이용, 이런 셈법으로 하루는 12*2로 24가 되었다는 설
과거 고대인들은 하루를 밤과 낮으로 나누고 다시 12시간으로 나누게 되면서 24시간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으로 구분 되기 시작한 것은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및 그리스 시대에 시작 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루를 오전 오후 12시간으로 나누기 시작 한 것은 12진법 과도 연관이 된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