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은 양치질도 하지 않는데 이가가 잘썩지 않습니다. 인간과 어떤차이가 있길래 이가 잘 썩지 않나요? 입속에 충치균이 없는 건가요?
인간은 입에 충치균이 있어서 이가 썩는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밥을 먹고 양치질을 하지 않으면 이가 잘 썩지요.
시골에 있는 강아지들은 사람들이 남긴 밥 등을 다 먹고 양치질을 안허는데도 이가 잘 썩지 않습니다. 사람과 똑같은 음식울 먹는데도 왜 그럴까요? 치아가 강한 것인거요? 아니면 강아지의 입속에서 충치균이 살기가 힘들어서 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는 인간과 다른 구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의 입 속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균이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개는 인간과 달리 탄수화물이나 당을 직접적으로 섭취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처럼 쉽게 이빨이 썩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개도 충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질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사람의 음식 또는 당분이 많은 간식을 섭취할 경우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충치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죠.
강아지와 인간의 이가 썩는 과정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은 그 차이점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식습관: 강아지와 인간의 식습관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인간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섭취하며, 그 중 일부는 이가 썩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강아지는 주로 개량된 사료나 강아지용 음식을 먹는데, 이들의 식습관은 다양한 인간 식품을 섭취하는 것보다 치아 건강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인체 구조: 인간과 강아지의 치아 구조는 다릅니다. 인간의 치아는 주로 현대 사회의 식습관에 적합하게 진화해온 것이며, 강아지의 치아는 그들이 육식동물로서의 역할을 해오면서 발전해온 것입니다.
친구세균의 다양성: 강아지의 입에는 인간과는 다른 종류의 세균이 주로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간과 다른 세균 군집이 존재하기 때문에, 강아지의 입에는 치아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세균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치아 구조: 강아지의 일부 종류는 큰 이빨과 턱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사용하여 먹이를 찢어먹거나 씹는 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강아지의 이가 썩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강아지도 어느 정도의 구강 관리가 필요하며, 치아 건강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칫솔질이나 치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강아지의 이가 썩는 문제는 개별적인 건강 상태와 유전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관리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아지들은 고기를 찢거나 뼈를 깎는 데 특화되어 있고, 강아지의 침에는 알칼리성을 유지하는 요소가 많아 인간에 비해 산성 환경이 적게 형성되어 충치 발생확률이 낮습니다. 그러나, 강아지도 충치균이나 치주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아지들이 이가 잘 썩지 않는 이유는 치아의 구조가 다르다. 강아지의 치아는 사람의 치아보다 훨씬 단단하고, 표면이 거칠어 음식물 찌꺼기가 잘 끼지 않습니다. 또한, 강아지의 치아에는 사람의 치아보다 많은 칼슘과 인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충치균의 활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침의 성분이 다르다. 강아지의 침은 사람의 침보다 pH가 약간 높아서 충치균의 활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강아지의 침에는 치아를 보호하는 성분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아지의 입속은 pH 값이 다릅니다. 인간의 입속은 약산성인 반면, 강아지의 입속은 알칼리성입니다. 이로 인해 강아지의 입속은 산성 환경에서 증식하는 치아에 유해한 세균들이 적게 번식하고, 이에 따라 치아에 생기는 충치의 위험이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