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의료상담
뽀로로
뽀로로22.12.29

크라운 재료별 장단점은 뭔가요?

충치치료 하고나서 크라운을 씌우는 거 같은데 각각 크라운 재료별 장단점이 뭔지 궁금합니다.

만약 어금니 충치치료를 하게되면 어떤걸로 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크라운재료는 PFM, Gold 지르코니아라는 재료를 사용합니다.

    PFM 은 내부에 금속이 있고. 외부에는 치과용도재가 있는 재료인데 치과용 도자기 부위가 깨지는 경우가 가끔있어요.

    골드 크라운 은 치아와 마모도가 비슷한. 금을 사용해서 깨지지는 않지만 마모가 될수 있고 치아색이 어두워보일수 있습니다.

    지르코니아는 최근에 개발된 치아색이. 나는 금속인데 현재로는 제일 좋은 물성을. 보이고 있는 재료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하는 크라운은 지르코니아, 골드, 세라믹 등이 있습니다. 골드는 생체친화적이며 치질과의 적합도가 높으나 심미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반면에 지르코니아는 치질과의 적합도는 골드보다 떨어지지만 치아색을 재현해낼 수 있으며 골드 만큼의 강도를 가집니다. 세라믹은 구치부와 같이 저작에 사용하는 치아가 아닌 심미적으로 중요한 치아에 사용하게 되며 강도가 약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예전에는 치과재료가 많이 없엇기 떄문에 금을 많이 사용햇습니다. 금이 가장 좋은 재료이긴하지만, 금값이 많이 올라가 가격도 비싸고 또 심미성에서 떨어지는 단점이 잇습니다. 요즘은 금보다는 치아색나는 지르코니아를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보통은 심미성과 물성 모두 괜찮은 지르코니아라는 재료를 많이 쓰십니다. 금은 심미성이 떨어지다보니 요즘은 안쓰는 추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9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과위생사입니다.

    메탈크라운 - 저렴한 비용, 변형이 적음 / 심미성 떨어짐, 체질에 따라 알러지 발생, 단단하여 조작이 어려움, 수명이 짦음

    금(골드)크라운 - 치아삭제량 적음, 생체적합성 / 심미성 떨어짐

    PFM(금속도재관) - 심미적, 강도 우수함 / 치질삭제량 많음, 시간경과후 안쪽의 메탈이 비침

    지르코니아 - 심미적으로 가장 우수함, 마모 적음 / 치질삭제량 많음

    장단점 고려해 선택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