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
22.12.05

관성이 지구중력과 관련이 있나요?

우리가 흔히 생활하면서 겪는 관성이란 힘이

지구 중력과 관련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추가적으로, 지구에 중력이 지금보다 약해진다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전문가님들의 의견 듣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
    22.12.05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관성과 중력은 다른 힘입니다

    관성은 어떠한 운동이 힘을 유지하려 하는 거고

    중력은 지구 중심으로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관성은 지구의 중력이 아니더라도 존재하는 성질입니다.


    가속하거나 감속할 때 작용하는 힘으로써, 가해지는 힘의크기에따라서 달라집니다.


    추가적으로, 지구중력이 약해지면 달은더 멀어지게되고, 조수간만의 차가 적어져, 밀물과썰물의 차이가 줄어들게됩니다. 또한, 몸무게가 전체적으로 가벼워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의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고 있고, 그로 인해 무게가 발생합니다.

    무게는 질량과 관계 있으며 질량은 중력질량과 관성질량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관계를 살펴보면 "관성질량 X 가속도 = 중력 = 중력질량 X 중력가속도g"의 관계를 가집니다.

    우리가 지상에 서있을 수 있는 것도 중력과 반대되는 관성의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죠.

    즉, 질량을 가진 물체가 중력의 영향을 받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중력과 같은 크기의 관성의 힘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위에서 질량이 클수록 관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금만 더 알아보겠습니다.


    질량이 클수록 관성이 크다면 이 성질을 이용해 어느 물체의 질량값을 구할 수 있을까요?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작용한 힘의 크기

    F

    F와 물체의 가속도

    a

    a를 알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아래의 뉴턴 운동의 제2법칙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중력질량의 개념은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 즉 중력에 관한 식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아래 [그림 2]와 같이

    M

    M과

    m

    m

    으로 주어지는 어떤 물리량을 생각해 보세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것을 관성질량이라고 단정지어서는 안됩니다. 왜냐면 관성질량은 (3)식과 같이 물체에 힘

    F

    F을 가했을 때 물체가 갖는 관성으로부터 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질량을 갖는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중력과는 무관한 현상인것이죠.


    그럼

    M

    M과

    m

    m

    을 뭐라고 부를까요? 중력과 관련된 물리량이니 일단 중력질량이라고 불러보겠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관성질량과 중력질량이 같을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지구의 중력이 약해지면 중력만큼 근육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진화로 인해 적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관성은 물체가 운동하려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력은 질량이 있는 물체를 끌어당기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