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만인의 총은 누구의 무덤인가요?

전북 남원에는 만인의 총이라고 하는 큰 무덤 묘지가 있는데요. 조선시대에 생긴 사건으로 만들어진 묘지라던데, 누구의 무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인의 총은

    정유재란 때 남원성(南原城)을 지키다 전사한 지사들의 무덤이라고 합니다.

    한 개인의 무덤보다는 전사자들의 시신을 한 곳에 묻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인의 총은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조선 후기 정유재란 당시 전사한 군, 관, 민을 합장한 무덤 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때 호남 점령의 실패가 임진왜란의 패인이라 판단한 왜적은 11만 대군으로 1597년 전라도를 침공하기 위하여 우군은 전주성을 좌군5만6천은 남원성을 공격하였다.


    조정에서는 남원성을 사수하기 위하여 전라병마사 이복남 장군이 이끄는 1천여의 군사와 명나라 부총병 양원의 3천병사로 하여금 남원성을 지키게 하였다.

    적은 8월 12일 남원에 당도하여 성을 겹겹이 포위하였으며, 13일부터 16일밤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성민 6천여 명을 포함한 1만여 의사들은 혈전 분투하다가 장렬하게 모두 순절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 피난에서 돌아온 성민들이 시신을 한 무덤에 모시고 1612년(광해군4년) 사당을 건립하여 전라병마사 이복남 등 7충신을 모셨으며 1653(효종4년)에는 충렬사액이 있었고 1675년(숙종원년)에 남원역 뒤 동충동으로 이건한 뒤 1836년(헌종2년) 사헌부지평 오흥업을 추배하니 8충신이 되었다. 그러다 1871년(고종8년) 사우 훼철령에 의거 사당이 철폐되어 제단을 설치하고 춘추로 향사하여 왔다. 그러나 일제가 제단를 파괴, 재산을 압수하고 제사마저 금지하였다. 그러다 광복과 더불어 다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모셔오다가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1년 4월 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으며, 지정 면적은 10만 866㎡이다.


    임진왜란의 패인이 전라도 지방을 점령하지 못한 탓이라고 여긴 왜군은 정유재란을 일으켜 전라도 지방을 점령한 뒤 북진할 전략을 세웠다. 이에 따라 왜군은 1597년(선조 30) 7월 말 11만 명을 좌군과 우군으로 나누어 우군은 황석산성(黃石山城)으로, 좌군은 남원으로 진격하였다.


    한편,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도 남원을 경상도·전라도·충청도를 잇는 전략상의 요충지로 여기고 전라병사 이복남(李福男)과 광양현감 이춘원(李春元), 조방장(助防將) 김경로(金敬老)의 군사 1000명과 명나라의 부총병 양원(楊元)이 이끄는 군사 3,000명이 방어하고 있었다.


    8월 7일 왜군의 선봉대가 남원에 모습을 나타냈고, 13일 왜군의 주력군이 남원성을 포위하여 공격하였다.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은 이에 대항하여 동문과 남문 및 북문은 각각 명나라의 양원과 장표(蔣表), 모승선(毛承先)이 지키고, 북문은 이복남이 방어하였다. 14~15일 이틀동안 민·관·군이 합심하여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16일 남원성은 함락되었다. 양원은 함락 직전에 서문을 통해 달아났다.


    이 싸움에서 접반사(接伴使) 정기원(鄭期遠), 이복남, 방어사 오응정(吳應井), 조방장 김경로, 별장 신호(申浩), 남원부사 임현(任鉉), 통판(通判) 이덕회(李德恢), 구례현감 이원춘 등이 전사하였다. 이밖에 왜군에게 학살된 민·관·군의 수는 거의 1만여 명에 달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전사한 사람들의 시신을 한 곳에 묻었고, 1612년(광해군 4) 충렬사를 세워 8명의 충신을 제향하였다. 처음에는 남원역 부근인 동충동에 있었으나, 주변이 민가로 둘러싸이게 되어 1964년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1971년부터 정화작업을 시작하여 1979년에 완공하였다.

    출처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