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검은호저36
검은호저3622.12.24

2023년도에는 우리나라 경제 전망

2023년 경제 전망은 어떨까요? 상반기부터 주식이 나아질까요 시기가 언제쯤일지 궁금하군요 빨리 나아졌으면 좋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2023년도 경제 전망에 대해서 분석하고 설명드리게 된다면 현재로서는 내년 한해는 올 한해보다 더욱 힘든 한해가 될 것이고 주식시장의 경우도 추가적인 하락이 불가피한 장이 될 것이라고 말씀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당장 닥치게 될 리스크와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금리로 인한 PF대출의 부실화 및 중소건설사의 부도 가능성 매우 높음 (2월~3월 예상)

    • 저축은행들의 연쇄 도산 가능성 높음

    • 기업들의 재고 증가

    • 한국 주력 수출품목 D램 반도체 가격 하락 및 수출 실적 하락

    • 기업들의 구조조정

    • 미국의 IRA법

    • 중국과 유럽의 경기침체

    • 실업률 증가 및 신규채용 감소

    • 개인들의 연체 증가 및 부실화 증가

    위의 사항 중에서 실제로 눈에 보이게 나타나고 있는 것들은 건설사들의 부도와 저축은행의 부도가능성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PF대출은 아파트를 떠올리시지만 저축은행들의 PF대출은 120억원 이하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 오피스텔과 소형 상가에 집중되어서 지원되었습니다. 지난 4월을 시작으로 오피스텔은 미분양률이 80%를 넘어가고 있었고 중소건설사들의 연체는 이미 지난 7월부터 쌓여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계점은 아마도 내년 2월에 대거 도산이 발생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지원하였던 저축은행들도 연쇄적인 도산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대기업들의 재고가 작년 대비 60%증가하였는데 재고의 증가는 곧 판매실적의 부진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유럽과 중국의 경기침체로 인해서 수요가 감소하고 있어서 기업들은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서 '구조조정'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에 증권가와 롯데그룹, LG등에서 벌써 '희망퇴직'을 받고 있는 모습들이 이러한 징조라고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실업률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 소비침체로 다시 이어지게 되고 현재 개인들의 대부분이 부채가 있는 상황이라서 대출이 부실화 될 경우 은행 산업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해질 것입니다. 그렇기에 주식시장으로 보게 되면 '모멘텀, 수급, 실적' 이 3가지가 모두 바닥을 향하는 상태라서 주식시장에 대한 물타기는 하지 않으실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보다 경기 침체가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여서 2023년 연말이나 늦으면 2024년도 초부터 금리인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주식시장은 선행지표이기 때문에 금리인하와 함께 조금씩 반등을 시작할 것으로 보이며 실적의 실질적은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는 2024년도 중반부터 완만한 반등을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추보영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오르고 있고 미국에서도 내린다는 말이 전혀 나오지않고 있습니다

    보통은

    금리가 높기때문에 은행에 저축을 하고요

    대출이 많은 사람은 갚기에 급급하기에 투자도 못합니다

    그래서 부동산과 주식이 폭락하는거죠

    제 미국주식도 거의 원금에 60~70프로수준이며 어떤 종목은 10프로로 떨어졌습니다

    아직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ㅠ

    아마 내년은 지나봐야할거 같습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어자피 다시 올라가긴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3년 한국 성장률을 2.2%로 전망되며 내년 본격적인 성장세 둔화가 이뤄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정책이 완화되고 인플레가 안정화되는 반면, 정부의 성장기여도가 축소됨에 따른 것이란 분석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