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우아한수달281
우아한수달281

가상화폐에서 노드라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뭔가요?

코인관련 정보나 뉴스를 보면 "노드"라는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이게 코인의 가격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거 같던데...

이게 뭘 말하는건지, 코인가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등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려한콰가118
    수려한콰가118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의 노드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노드(Node)

    노드는 여러 통신망(유/무선)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각 지역통신망을 유지/관리해주는 한국통신(KT)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에서의 노드

      1. 블록체인은 인터넷(네트워크)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데이터 저장(단일 또는 분산) 시스템(서버)입니다.

      2.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에서 거래를 검증하고 관련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보를 저장할 경우 일정량의 저장용량으로 정의된 블록의 단위로 체인처럼 순차적으로 연결하게 됩니다.

      3. 한번 체인에 연결된 정보는 일반적으로 수정 및 조작이 불가능합니다.

      4. 인터넷이 연결된 곳이라면 어디서나 접속하여 거래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노드의 종류

    블록체인의 노드로는 풀노드(Full Node)슈퍼노드(Super Node), 라이트노드(Light Node), 마이너노드(Miner Nodes), 라이트노드(Light Node) 등여러 종류 있습니다.

    • 풀노드(Full Node)

      1. 기존 블록을 생산하는 역할을 포함하여 블록체인의 첫번째 블록부터 현재까지 생성된 블록 정보를 모두 보유한(저장) 노드입니다.

      2. 즉 풀노드는 해당 블록체인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3. 풀노드의 역할

        ① 거래자들간의 정보를 분석하여 유효한 거래인지 확인합니다.

        ② 새로운 블록이 추가될 경우 이전거래 내역이 일치하는지 검증합니다.

        ③ 블록생성시 이중지불이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④ 새로운 불록이 생성시 올바른 보상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⑤ 풀노드에 가지고 있는 정보를 주변 노드에 전파하여 공유합니다.

    • 슈퍼노드(Super Node)

      1. 위임지분증명(DPoS)의 기반으로 소수의 노드에 의해 블록을 생성하는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2. 대표되는 슈퍼노드 운영은 트론(27BP)이 있습니다.

      3. 이오스의 BP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블록 생성자들을 슈퍼 대표자(Super Representative)라고 부릅니다.

      4. 슈퍼 대표자 후보자는 트론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선출된 100명 중에서 선택되고 선거는 24시간마다 개최되는데 모든 트론 소유자가 24시간마다 투표로 선출한 27명이 슈퍼 대표자가 되고, 블록 생성에 대한 보상으로 블록 당 32TRX를 지급받게 됩니다.

    • 라이트노드(Light Node)

      1. 풀노드(full node)는 해당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 거래정보를 보유한 노드로 거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 운영이 가능한데 반해 라이트노드(Light Node)는 시드(Seed)형태의 정보인 블록헤더의 데이터만 보유한 노드를 말합니다

      2. 이런 라이트노드는 거래 검증시 풀노드의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풀노드의 의존도가 필수적이지만 운영상 비용이 적게 들고 사용이 쉬우며, 문제 발생시 복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SPV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립니다.

    • 마이너노드(Miner Nodes)

      1. 마이너노드는 채굴을 위한 노드로 마이닝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화폐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는 노드로 단독으로 운영되는 솔로 마이너(Solo Miner)와 병렬로 구성된 풀 마이너(Pool Miner)가 있습니다.

      3. 이렇게 병렬로 구성되어 채굴을 하는 규모적인 마이너 노드를 마이닝 풀(Mining Pool)이라고 불립니다.

    • 라이트노드(Light Node)

      1. 풀노드(full node)는 해당 블록체인의 블록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는 노드를 말합니다. 즉, 모든 거래정보를 보유한 노드로 거래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 운영이 가능한데 반해 라이트노드(light node)는 시드(Seed)형태의 정보인 블록헤더의 데이터만 보유한 노드를 말합니다.

      2. 이런 라이트노드는 거래 검증시 풀노드의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풀노드의 의존도가 필수적이지만 운영상 비용이 적게 들고 사용이 쉬우며, 문제 발생시 복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따라서 노드(Node)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 이는 블록체인을 직접적으로 운영하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