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노련한박쥐213
노련한박쥐21321.05.06

끓는 기름에 화상을 입었어요

반찬을 만들다가 끓는 기름을 손에 쏟아서 화상을 입어서 물집이 잡히고 벌게 지더니 이젠 가려워요 아프진 않은데 가려운건 못참겠어요 계속 손을 붕대로 감고 있자니 더 가려워서 힘들어요 가려움을 진정시킬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상으로 인해 화상부위가 가려울 때에는 항히스타민제를 드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항생제가 섞인 국소스테로이드제를 사용 하기도 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급하면 약국에서도 사 드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상치료를 받는 중에 가려움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보습크림을 잘 발라주시는 것으로 어느정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려움이 너무 심하다면 담당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증상이 너무 심하다면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5.08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상을 입고나서 회복되는 기간은 최소 2주가량 소요됩니다. 화상 부위가 가려운 것은 상처가 나으면서 자연적으로 생길 수 있는 현상입니다. 가려움을 완화하기 위해서 상처 주변으로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를 도포하고 드레싱을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너무 심한것이 아니라면 붕대는 풀고 밴드정도로만 덮어두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상으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화상부위를 흐르는 찬물에 10분 이상 담구고 나서 깨끗한 거즈로 덮습니다.
    수분섭취를 충분히 해주시며 1도화상처럼 가벼운 화상은 화상연고를 발라줍니다.
    물집이 생긴 경우 (2도화상 이상) 절대 인위적으로 터뜨리지 마시고 근처 외과나 응급실 내원하셔서 진료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화상으로 많이 놀라셨을텐데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병원에 가셔서 몇도 화상인지 확인해보십시오.

    큰 화상은 아니지만 치료방법에 대해 설명 듣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열상 화상
    - 화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 환부를 흐르는 찬물로 15~30분 정도 식힌다.
    - 수포가 발생하였거나 아기들의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여 추가 처치 받는다.


    2. 흡입 화상
    -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 의복을 느슨하게 열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 기도 유지가 어려운 경우 기도 확보를 시행하고, 호흡 또는 심장 정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 병원으로 이송한다.

    3. 화학 화상
    - 즉시 흐르는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화학물질을 제거한다.
    - 화학화상은 3도 이상의 화상으로 간주하여 응급실을 방문한다.

    4. 전기 화상
    - 상처 부위가 크고 작은 것과 달리 모든 전기 화상은 3도 화상으로 간주하며, 전기로 인한 화상은 외견상 보이는 화상보다 심한 내상을 흔히 동반한다.
    - 전기 감전 발생시 함부로 환자를 직접 떼어내지 말고 일단 전기 스위치를 내려 전기공급을 중단한다.
    - 화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