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금이가서 씹을 때 마다 통증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딱딱한걸 먹다가 치아에 금이 간거 같은데 그 부위로 씹을 때 마다 통증이 있어요 ㅠㅠ
찾아보니까 신경치료 해야 한다는데 그 방법 밖에 없나요?
신경치료는 하기 싫은데 통증은 있고 ㅠㅠ 고민이 되네요
- 안녕하세요. 김용균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에 금이 가서 씹을때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치료후 금니같은 보철치료로 마무리해주셔야 합니다. - 깨진 부위가 깊고 크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발치를 해야할수도 있습니다. - 치과에 가셔서 진단 및 치료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는 재생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한 번 금이 간 치아는 저절로 회복이 되지 않고 금이 점차 진행되게 됩니다. - 금이 치아 머리에 국한된 경우에는 더욱 진행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치아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됩니다. - 금이 안쪽으로 깊이 진행되어 단순히 크라운치료를 하더라도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미 금이 뿌리까지 진행된 경우에는 치료가 불가능하며 치아를 발치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치아에 금이가게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금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치아에 가있는 금이 신경까지 진행이 되면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빠른 치료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 불편감이 없다면 치아에 금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너무 단단한 음식을 먹는 습관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 씹을 때마다 통증이 있다면 치아에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 치아에 금이 간 것인지 아니면 안쪽 안 보이는 부위에 충치 때문인지는 x ray 검사등을 해 보아야 하니 - 치과 내원하여 검사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효상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지면 다시 붙지 않는 성질이 있습니다. - 금이 가거나 깨진 치아의 증상은 찌릿하거나 무언가를 물었다가 떼었을때 아프다는 것입니다. - 일반적인 치료는 크라운을 씌우는것입니다. 크라운이 일종의 보호구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 크라운을 씌우기전 증상에 따라서 신경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크라운을 씌우는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에는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치료로 넘어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주경 치과의사입니다. - 날카로운 느낌(찌릿한 느낌)이 있는 경우, - 치아가 금이 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신경치료를 하고 , 크라운을 씌워서 금이 간 치아를 보호해보다가 - 그럼에도 계속 증상이 계속되시면 치아를 뽑고 임플란트를 해야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에 금이 간경우 다 치료가 필요한것은 아니지만, 해당부위가 통증이 있는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치료하게되면 크라운을 해야하고, 그 과정에서 신경치료를 같이 해야할 수 있습니다. - 정확한것은 치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구화 치과의사입니다. - 평소에 이갈이나 딱딱한것을 자주 드셔서 이미 약해진 상태이면 - 치아가 부러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 처음에는 실금이 가다가 계속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 금이 심하게 갈 수도 있습니다. - 찌릿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이렇게 되면, 크랙의 치료인 신경치료나 빼고 임플란트 등을 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 치아 크랙이라고 합니다. 물리적인 자극에 의해 치아에 금이 생기게 되고 치아에 생긴 금은 없어지지 않고 계속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랙이 진행되어 치아의 신경부위까지 금이 진행된다면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를 해야하며 심할 경우는 치아를 발치해야합니다. -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막고자 크랙이 발견되면 크라운으로 씌워서 크랙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치료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 신경치료를 해야할지, 발치를 해야할지는 검사가 필요합니다. 치아가 금이 간 경우에 오히려 신경치료를 하는 것이 다행인 상황입니다. 대부분은 금이 간 부위가 뿌리까지 내려간다면 신경치료가 아닌 발치 이후에 임플란트를 해야 합니다. 다만 신경치료를 해야할 정도라면 그나마 다행인 상황입니다. -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통증이 경미하시다면 그쪽으로 조심히 사용하시면서 관리하시면되지만 통증이 심하거나 점점 증가한다면 신경치료를 하셔야됩니다. 금이 어디까지 진행된지 알수 없기때문에 발치가능성도 있으니 빨리 치과가셔서 치료를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장인아 치위생사입니다. - 차아에 금이가는 이유는 이악무는습관, 이갈이,강하게 씹는 습관 등이 있습니다. - 치아에 금이 가면 씹을때 통증, 차가운 음식 섭취시 시큰거림 찌릿함, 무증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 치아에 금이 가 있으면 보철물로 씌워 줘야 합니다. - 치근으로 연장된 신경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면 신경치료 후 씌워 줘야 합니다. - 악화 되면 발치를 해야 할수 도 있습니다. -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