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의 발달이 뱅크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최근 실리콘밸리뱅크의 부실로 인한 뱅크런은 전래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신속한 뱅크런의 진행과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뱅킹이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의 뱅크런은 atm기 앞에 길게늘어선 줄이 상징이였지만 현재는 atm기기 없이도 모바일 이체나
web이체로 돈을 출금할 수 있기 때문에 뱅크런은 하루만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쩡한 은행도 루머로 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이번 svb사태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인터넷뱅킹 및 모바일 뱅킹 등이
발달하였기에 뱅크런 등이 우려될 경우에는
이러한 자금인출이 더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뱅크런은 은행 시스템, 금융 안정성 및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 상실, 유동성 문제, 심지어 다른 금융 기관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의 등장으로 뱅크런은 더욱 빠르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고객이 자금을 인출할 수 있는 쉽고 빠른 속도로 인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SVB는 약 40시간 사이 대규모 '스마트폰 뱅크런'으로 문을 닫았습니다. 인터넷 뱅킹이나 스마트 폰을 이용한 폰 뱅킹이 활성화 되지 않았다면 아마도 이렇게 빨리 뱅크런이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것 입니다. 하지만 국내 은행 사정이랑은 약간 차이가 있기 떄문에 이번 사태가 우리나라의 경우와는 차이가 있을 것 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인터넷뱅킹이 발달하고 이체한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지금처럼 은행의 파산과 관련된 소문이 돌기 시작하면 은행을 찾아가는 것 보다 빠르게 예금인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럼 대규모의 인출사태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면서 뱅크런 또한 더욱 빠르게 확산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