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덕망있는굴뚝새26
덕망있는굴뚝새26

관성을 가속도 법칙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저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물리1 과목을 공부하던 중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합니다.

관성의 특징이 질량이 클 수록 관성을 유지하려는 성질이 더 커진다고 배웠는데 질량과 관성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궁금해서 생각해보다가 가속도 법칙을 생각해보았습니다.

*제가 생각한 내용입니다.

두 물체가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정지해있을 때 질량이 각각 1kg,2kg이라고 하고 똑같이 10N을 주면 둘의 가속도가(뉴턴 운동 제 2법칙에 따르면) 10m/s^2, 5m/s^2이 나옵니다. 그래서 질량이 가속도와 반비례 관계이기에 질량이 크면 가속도가 잘 생기지 않아서 즉 속도 변화량이 줄어들어 운동상태가 잘 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정지하려는 관성이 커진다. (운동관성은 헷갈려서 생각은 못해봤어요.)

라고 생각을 해보고 선생님께 여쭤봤는데 관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엄밀하게 보면 직접 관성을 힘과 연관시키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대학 과정이 들어간다고 말씀하셨던 것 같아요) 선생님 말씀이 잘 이해가 안돼서 여기에 질문합니다. 제가 생각한 부분 중에서 어디가 틀렸고 대학 과정 들어간다면 쉽게 설명해주세요...정말 궁금합니다 친절하고 꼼꼼하게 설명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