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위스키를 제조할 때 똑같은 재료ㆍ재질, 같은 날 오크통에서 숙성하였으나, 통마다 맛이 다르다는 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위스키를 제조할 때 똑같은 재료ㆍ재질, 같은 날 만든 위스키를 오크통에서 숙성하였으나, 통마다 맛이 다르다는 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위스키의 숙성은 오크통에서 이루어지는데 오크통은

    위스키의 맛과 향을 형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오크통의 종류 크기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요인이

    위스키의 맛과 향을 결정짓습니다.

    위스키의 숙성 과정에서 오크통에서 나오는 타닌 바닐라 캐러멜 등의

    성분이 위스키에 흡수되면서 위스키의 맛과 향이 풍부해집니다.

    오크통의 나무결은 위스키에 다양한 풍미를 더해줍니다.

    같은 날 만든 위스키라도 오크통의 종류가

    다르면 숙성 과정에서

    나오는 성분의 종류와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맛과 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셰리 오크통에서 숙성된 위스키는

    셰리의 풍미를 더 많이 흡수하여 달콤하고

    과일향이 풍부한 맛이 나는 반면 버번 오크통에서

    숙성된 위스키는 버번의

    풍미를 더 많이 흡수하여 풍부한 바닐라향과

    캐러멜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크통의 크기도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오크통의 크기가 작을수록 위스키와 오크통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 많은 성분이 흡수되기

    때문에 풍부한 맛과 향을

    가진 위스키가 만들어집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