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보다 밤에 소리가 더 퍼지는 것 같은데 맞나요?
뭔가 밤에는 너무 조용해서 그런지 낮보다 좀 소리 자체가 멀리까지 퍼지는 것 같습니다. 낮보다는 밤에 소리가 더 멀리까지 잘 퍼지는게 과학적 원인이 있는지 저의 착각인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에 소리가 잘 퍼지는 이유는 밤에 조용하기 때문에 낮보다 밤에 소리가 더 잘들리는 것 입니다
그리고 차가운 공기로 지면의 공기밀도가 높아져서 소리가 잘 들립니다
밤에 소리가 더 잘 들리는 이유는 온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지표면 근처의 공기 밀도가 공기중보다 더 크기 때문에
퍼져나가는 소리가 지표면 쪽으로 굴절되어 더 크게 들립니다.
낮에는 공기 밀도가 반대가 되어서 지표면에서 높은 상공으로 굴절되어
지표면에 있는 사람은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밀도 차이때문에 그렇기도 하죠
하지만 밤에는 낮에 있던 자동차등이 다 없어져서 소리가
막히는게 적어지고요
그 자동차들이 내는 소리가 없어지기 때문에 더 잘들리지요
그리고 낮은곳 보다 높은곳이 더 잘들리는 이유는
따뜻한 공기가 위로 간다는 것은 알고 계실 거에요
정확하진 않지만 입을 한번 통한 공기는
사람의 온도 만큼 그 온도가 올라가고 똑같은 무게일때
부피가 더 커져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더 잘들리는 것이고요
소리를 칠때는 옥상보다는 옥상 아래 3~4층 정도가
더 크게 난다고 해요 주위의 건물들에 울려 들리기 때문이라고
하네요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사실입니다.
소리는 파장이기에, 매질의 밀도에 따라 굴절이 발생합니다.
밤이 되면, 공기가 식고 지면이 차가워지면서 점차 상공보다 지상의 밀도가 더 높아집니다. 이 때문에 퍼져나가던 소리가 지표면 쪽으로 굴절돼 같은소리도 유난히 더 크게 들리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