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지에 뜯으라고 점선으로표신된 부분은 어떻게 잘뜯어지나요??
봉지로된 단백질 프로틴을 먹는데요. 중간에 뜯으로라고 봉지에 점선으로 표시 되어 있어서 그곳을 옆면을 잡고 뜯으면 잘 뜯어지는데요. 어떻게 그 부위만 잘뜯어지는건가요?? 실제로 점선으로 된건 아닌데 다 똑같이 포장된 봉지인데,,,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점선 부분에 쉽게 뜯어질 수 있도록 미리 컷팅을 해놓거나 약하게 부착한 것 입니다. 따라서 컷팅 된 부분 또는 점선 부분을 자르면 쉽게 잘리게 되는 것 이죠.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지컷을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이는 공장에서 공정으로 포장이 풀리지는 않으면서 잘 뜯어지도록 한번 가공을 하기 떄문에 잘 열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전 밀봉과정에서 그안에 점과 같이 작은 홈을 두어 밀봉도 완벽하면서 손으로 작은힘으로도 뜯어질수 있게 만드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점선은 보통 해당 부분에 칼날을 점선형태로 집어넣어 연결을 부분부분 끈끊어놓은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뜯을 때 더 적은 힘을 들여 뜯도록 돕습니다.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봉지에 표시된 점선은 실제로 선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융기나 얇아진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부분은 열 접착 과정에서 미세하게 압력이 적게 가해져 접착력이 약해지는데요, 따라서 봉지를 뜯을 때 융기나 얇아진 부분을 따라 힘을 가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깨끗하게 뜯어낼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 잘린것은 아니지만 잘 뜯어질수 있도록 처리를 한것입니다. 그래서 손쉽게 뜯어지는 것입니다
거의 잘리기 직전의 상태정도로 보시면 될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봉지의 특정 부위에 점선이나 뜯을 부위를 표시하는 것은 접착제나 포장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당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쉽게 뜯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가 제품을 포장할 때 특정 부위에 다른 재료를 사용하거나 특별한 처리를 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