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장마는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는 것인가요?

장마는 항상 초여름쯤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장마는 왜 이 때에만 발생하는 것이며 만약 발생 시기를 현대 과학 기술로 조정이 가능한가요? 예를 들면 가뭄이 들 시기에 장마가 오도록 한다든지 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xcute4
      xcute4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장마가 발생하는 이유는 온도차가 큰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에 전선이 생겨 한반도에 머물기 때문입나다.여름철의 날씨를 좌우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은 겨울동안 하와이 부근 태평양상에 머물고 있다가 여름이 가까워지면 점차 북서태평양쪽으로 이동해옵니다.

      그때까지 우리나라에는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이 번갈아 지나가면서 날씨가 주기적으로 변하다가 6월로 접어들면서부터 오호츠크해에서 동해쪽으로 고기압이 뻗어 나오기 시작합니다.오호츠크해는 겨울 동안 얼음으로 덮여 있다가 봄이 되면 녹기 시작하는데 얼음이 녹은 차가운 물로 바다가 찬 수온을 유지하면서 대륙에 비해 온도가 10도 정도나 낮습니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찬 공기 덩어리가 머물게 되면서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형성되는 것입니다.이 고기압이 차고 습기가 많은 해양성 기단입니다.이처럼 오호츠크해 고기압과 북태평양 고기압의 온도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두 고기압 사이에는 뚜렷한 전선이 생기게 됩니다.

      이 전선은 움직이지 않고 머무르는 성질이 있고 또한 이 전선을 따라 저기압이 서에서 동으로 움직입니다.

      대개 매년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까지 이 전선이 우리나라에 위치하면서 자주 흐리거나 비가 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장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