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트럼프가 왜 유독 중국에만 관세를 특히나 세게 때리는건가요?
미국 제 47대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을 했는데여 그리고
도날드 트럼프가 취임하자 마자 중국에 관세를 10프로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안을 논의중이라는데 왜 유독 중국에만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문제로 삼았습니다. 미국은 오랜 기간 동안 중국과의 무역에서 큰 적자를 보고 있었고, 이는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가장 먼저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 중 하나였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이 미국보다 더 많은 상품을 수출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높은 관세를 통해 무역 불균형을 바로잡고자 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이 자국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고, 미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데 있어 불공정한 조건을 강요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이 기술을 강제로 이전 받거나,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기술을 공유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는 이러한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강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무역 불균형 해소와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겨냥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지속적인 적자를 보고 있었고, 이를 줄이려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또한, 미국 내 일자리와 제조업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며 중국 수입품을 줄이려 했습니다.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일환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1명 평가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에 강력한 관세 정책을 추진한 이유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불균형, 지식재산권 침해, 불공정 무역 관행 등이 주된 배경입니다.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대규모 제품을 수입하면서도 미국산 제품의 수출이 적어 무역 적자가 심각했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수단으로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입니다.
또한,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와 기술 강제 이전 문제를 해결하고, 보조금 지급이나 시장 접근 제한 등 불공정 무역을 바로잡으려는 목적도 있습니다.
그리고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값싼 중국산 제품으로 인해 위협받는 미국 제조업을 부활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첨단 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부상이 미국의 경제적,정치적 지위를 위협한다고 보고 이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와 같은 경우에는 중국이
미국의 패권에 위협이 된다는 인식에 따라서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관세부과를 하고자 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중국을 미국의 경제적 경쟁자로 보고, 중국의 무역 관행, 지적 재산권 침해, 기술 이전 강요 등 여러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강력한 통상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줄이고 미국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허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중국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는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 경제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중국에만 그런 것은 아니고,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일시적이고 다시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국과는 과거부터 무역분쟁(꽤 오랜기간 미국이 적자를 보고 있음)으로 인해 보복관세 개념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이 반미국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주의 진영의 반대의 선봉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습니다. 러시아도 있었지만, 러시아는 지금 힘을 못쓰고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가 유독 중국에만 관세를 세게 때렸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중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 적자가 심화되었기 때문이지만
중국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25퍼센트 관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가 중국에 대해 관세 부과를 논의한 이유는 주로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불균형 및 중국의 경제 정책 때문입니다.
미국은 중국의 경제적 부상을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닌, 세계 패권 경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관세 부과는 경제적으로 중국을 견제하는 동시에 정치적·전략적 압박의 일환으로 사용하려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히려 이번 2기 트럼프는 중국에게 관대합니다
그 이유는 이미 1기 때 중국과 무역전쟁을 통하여 미국이 승리하였고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중국의 경제는 몰락의 길을 걷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히려 이번에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고 천천히 외교를 통해 풀어나가고 있으며
오히려 멕시코와 캐나다에 25%관세를 부과하면서 경제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지식재산권 침해, 불공정한 무역 관행 등을 이유로 중국에 대해 강력한 관세를 부과하여 미국 경제에 유리한 무역 환경을 만들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