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투자는 끝물인가요?궁금합니다
전매제한이 사라진 시점에서 메리트가잇을지
궁금합니다. 주식은 공매가 풀리면 조정이올꺼같은데..
오히려 금융상품이 더 효율적이지않을까 고민이네요
금액은 10억으로 투자생각중입니다..
부동산 투자의 끝물에 대한 질문을 하셨군요.
부동산 참 어렵죠. 저도 현재 부동산 집중규제지역에 2채 보유중인데, 이 중 1채 매도를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종부세때문에..
님의 자금이 10억이니, 적지 않은 금액이군요. 부동산에서는 서울지역, 경기지역에서는 적정 금액인 듯 합니다.
LTV 50%를 하면, 더 여유있게 원하시는 부동산을 구매하실 수 있겠네요.
끝물이라... 기간을 어디까지 보고 끝물이라고 질문하신지가 헤깔리네요. 부동산은 워낙 중장기 투자라(4~5년 이상)...
일단 제 개인적인 생각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1. 공급량: 현 정부 들어와서 건설업체가 거의 다 죽었습니다. 이에 16년부터 신규 건설 및 분양 공급량이 16년 이전보다는 많이 줄어들게 되었죠. 건설이 대략 4~5년걸리는데,, 이에 공급량이 수요를 못받쳐주는 사항이였죠. 이건 인터넷 검색해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2. 수요: 베이비부머 시대의 자식들(30~40대)에게 결혼시 집 1채씩 마련을 해주었던 시대가 지났습니다.(80~90년대생) 이후 현재 저출산으로 결혼인력이 줄어드니 분가해서 살아갈 친구들이 줄어들게 되겠죠. 즉, 수요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3. 정책: 부동산 대책이 현 정부에서 벌써 21~22회 대책을 띄우고 있죠.
"잔잔한 호수가에 돌을 막 던지니, 물고기들이 어쩔 줄을 몰라서 여기저기서 난리입니다."
현재 부동산 시세와 같죠,, 여기저기 투기제한이니, 전매제한이니, 종합부동산세니, 취득세니, 거기에 법인임대주택허가했다가 다시 제재를 가했다가. 정신 없어 죽겠죠....
1.2.3을 봤을때 부동산의 시세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 공급과 수요인데.. 제 생각으로는 공급이 수요를 훨씬 못 미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책 또한 안정이 되야 가고자 하는 방향이 나오는데, 그 방향을 잡지도 못하게 어지럽게 들쑥 날쑥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니 일반인들은 집을 더욱 더 내놓지 않겠죠.
여기까지만 생각을 했을 때 부동산 시세는 한동안 보합상태에 있던가 10~15% 상승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현재 몇만호 공급한다고 한 것 또한 단기(2~3년 내) 에 해결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 민간 협조가 안될 것으로 보이거든요.. 재건축조합단지 등에서 비협조 예상됩니다. 이익환수때문이고 임대아파트 때문이죠.. 하루아침에 생각이 바뀌진 않을테니까요..
아파트를 50층 이상으로 올린다? 그럼 주변 인프라(교통여건, 학교, 그리고 고층 화재시 대응 소방인력 등)등을 고려했을 때 정말 즉시 할 수 있는 일이까요? 절대로 안될 사항입니다. 단순하게 위 인프라 몇가지만 고려하더라도 어린 친구들한테 설명 후 물어봐도 안될 것 같네요 할꺼에요.. 그러니 공급량은 계속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네요
제 생각이 배라면 산으로 가는 것 같아서, 제 개인적인 의견을 마무리한다면 부동산 가격은 보합이거나 2~3년동안 10~15% 가량은 더욱 더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떨어지진 않을 것 같아요.
물론 코로나19 와 경기장기침체로 대출을 갚지 못한 서민들의 급매로 부동산을 내놓는 경우도 생기겠죠. 근데 그런 패닉셀이 일어나도 수요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바로바로 패닉셀 물량은 정리될테니까요..
아무쪼록 10억이란 큰돈을 잘 관리하셔서 더 좋은 미래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금년도 5.11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수도권 비규제지역 및 광역시 등 다수지역 분양권 전매제한이 걸리게 되었습니다.일반청약으로 당첨되서도 잔금까지 다치를때까지 팔수가없죠하지만 재개발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재개발 조합원 자격으로 취득하는 것은 입주권입니다. 재개발이 진행되는 구역이 갑자기 활발해지고 있습니다.(광역지자체 기준) 가지고 계신 실탄의 방향을 재개발 투자 쪽으로 돌리시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입주권은 언제든지 팔 수있으니까요!!
안녕하세요.
전매제한이 사라진 시점에서 메리트가잇을지
전매제한이란 분양권에 대한것이 아닌지요? 실제 노른자 혹은 수요가 있는 곳의 투자 기회는 아직 남아 있지
않을지요? 또한 재개발도 재개발이후의 프리미엄을 노리는 것이라면 전매제한이 걸린 상태여도 괜찮을거 같은데요,
물론 청약도 완공후의 가치를 본다면 전매제한이 있어도 상관없어 보이긴 합니다.
궁금합니다. 주식은 공매가 풀리면 조정이올꺼같은데..
오히려 금융상품이 더 효율적이지않을까 고민이네요
금액은 10억으로 투자생각중입니다..
10억이라면 은행의 PB와 상담해 보시는 것이 가장 좋을것 같습니다. 혹은 말씀하신것처럼 어느 하나 딱히 괜찮은 상품이 없을때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고 여러 바구니에 나누어 담는 분산 투자도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