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4.03

천둥이 치는 원리는 무엇인지요?

비가 많이 올 때 구름에 있는 전하가 지표면 전하로의 강력한 흐름에 의한 방전현상이 번개인데 천둥은 어떻게 발생되어 큰소리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3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는 구름 간 또는 구름과 지표면 간의 전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방전 현상입니다. 번개가 발생하면, 전하가 지표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시켜 전기적으로 중성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고온과 고압의 기체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폭발적인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이 충격파가 소리의 진동으로 바뀌어 천둥 소리가 발생합니다.

    즉, 천둥은 번개가 지표면에 발생할 때, 고온, 고압의 기체가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천둥의 크기는 번개의 에너지와 거리, 공기 밀도,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번개와 천둥이 거리가 멀어질수록 천둥 소리는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가 많이 올 때 구름에 있는 전하가 지표면 전하로의 강력한 흐름에 의한 방전 현상으로 번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천둥 소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은 번개가 지면 또는 구름 내부에서 발생할 때 발생합니다. 번개는 대기 중 전기를 통해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 때 주변 대기를 가열하여 폭발음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한 폭발음이 천둥 소리가 됩니다.


  • 번개와 천둥은 같은 현상의 다른 표현입니다. 번개는 대기에서 전기 분극이 생겨 전하가 축적되다가 전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생기면 갑자기 방전하면서 빛이 발생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전류는 매우 강력하며 고온, 고압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강한 전류가 발생하면서 주변 대기 분자들도 이온화되어 음이온과 양이온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이온화된 대기 분자들이 갑자기 충돌하면서 폭발적인 확산을 일으키고, 이 때 생성되는 파동이 바로 천둥소리가 됩니다. 즉, 번개가 나면서 발생하는 전류와 이온화된 대기 분자들의 충돌이 천둥소리를 만드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폭발하는 소리입니다. 번개는 구름과 대기 사이에 전기적인 차이가 생겨서 발생하며, 이는 대기의 전기장이 갑자기 변화하면서 일어납니다. 이 전기장의 변화는 대기를 통해 전기를 전달하는데, 이때 전기가 공기 중에서 움직이면서 압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소리가 발생합니다. 이 소리는 천둥 소리로 들리게 됩니다. 또한, 번개가 폭발할 때 고온과 고압이 발생하여 공기를 확장시키는데, 이 역시 천둥 소리에 기여합니다. 천둥은 일반적으로 번개와 함께 발생하지만, 번개와 천둥이 거리가 멀 경우 천둥 소리가 느리게 들리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느리기 때문에, 번개와 천둥이 생기는 곳에서 발생한 소리가 먼 곳에 있는 사람에게는 느리게 들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땅과 구름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생성되는 소리입니다. 번개가 땅과 구름 사이를 이동하면서 공기 분자들이 급격하게 압축되고, 이 압축된 공기 분자들이 빠르게 팽창하여 발생하는 파동이 천둥 소리가 됩니다.

    천둥은 번개의 발생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번개가 발생한 지점에서 천둥 소리가 들리는데, 이는 번개가 발생한 위치에서 충격파가 발생하고, 이 충격파가 지표면 등에서 반사되어 들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칠때 발생합니다. 번개가 고온과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면 주변 공기를 급격하게 팽창시키면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발생하면 동반되는 자연현상입니다.

    우선 번개는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구름 내부에 분리 축적된 음전하와 양전하 사이에서 일어나는 전자의 방전을 말발합니다.

    그렇게 방전된 번개는 대기를 가르며 낙뢰가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번개의 열로 인해 주위 공기가 압축되고 다시 팽창하면서 공기 진동이 발생하고 그 진동이 소리가 되어 들리는데요, 그것이 천둥소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천둥은 번개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번개는 구름과 지면 또는 구름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방전입니다. 대기 내에서는 양성과 음성 전하 사이의 차이로 인한 전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전기장이 충분한 크기에 도달하면, 공기가 전기를 전달하며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방전에 의해 고온과 고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주변 공기가 급격하게 팽창합니다. 이 팽창되는 공기가 만들어내는 충격파가 천둥 소리로 울리게 됩니다.

    따라서, 천둥은 번개로 인한 전기적 방전으로 인해 고온과 고압이 발생하여 주변 공기가 급격하게 팽창하고 충격파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1. 하늘은 음전하이고 지상은 양전하로 대전이 됩니다. 그래서 그 두가지가 만나는 과정인데


    이미 양전하가 가장 가까운 곳으로 모여든 상황이라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갈수밖에 없습니다.



    2. 음전하는 전자라서 움직이지만 양전하는 양성자라 움직일 수 없어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떨어집니다.



    3. 양전하는 참고로 움직일 수 없어 음전하(전자)가 다른곳으로 이동해서 상대적으로 양전하를 띠는 것입니다.



    4.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면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0에 수렴하는 지상이기에 순식간에 주변으로 음전하(번개)가 퍼져 전하값이 0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