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아이 스티커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가 보이는 매직 아이 스티커를 보다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 건지 궁금해서요
매직 아이는 어떤 원리로 다르게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사물을 입체로 볼수 있는 이유는 눈이 두개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평소 생활할때는 두 눈이 다르게 보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우리 두눈은 언제나 사물을 다르게 보고 있습니다.
위치가 다르기 때문이죠.
그래서 두 눈은 미세하게 다르게 보는걸로 원근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한쪽눈을 감고 양손 손가락을 ET장면처럼 하면 잘 안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쪽눈을 감고 징검다리를 건너려구하면 빠지게 되는 이유도 한쪽눈으로는 원근이 구분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매직아이는 어떻게 되는거냐 하면은요....
점이 두개가 있는 것을 세개로 보이게 하면은 왼쪽눈 중심에는 왼쪽점이 오게되고
오른쪽눈 중심에는 오른쪽 점이 오게 되는겁니다.
그럼 두 눈이 보고 있는 점들에 차이를 원근이 인위적으로 생기도록 배치하면 매직아이가 됩니다.
그리고 매직아이를 하면 눈에 해롭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지나치게 책을 가까이 오래동안 본다면 나빠질수도 있겠지만
매직아이 조금만 익숙해지면은 가까이 보지 않아도 볼수 있게 됩니다.
매직아이를 못보는 사람은 이론적으로는 눈이 한쪽이 안보이는 사람 뿐입니다.
아무리 해도 안된다는 사람은 눈이 움직이는 근육과 초점을 맞추는 근육이 같이 움직이는데
그걸 인위적으로 맞추질 못해서 그렇습니다.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좌안과 우안이 보는 것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눈은 좌안과 우안이 서로 다르게 보고 이것이 뇌에서 합쳐져서 하나의 영상을 만듭니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매직아이인데요, 같은 그림이라도 좌안과 우안이 서로 다른 각도로 보기에 약간의 차이를 두고 다르게 보게 되고 이것이 뇌에서 합성되며 마치 3D를 보는 듯한 착각을 만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보는 화면은 양 쪽 눈이 각각 다릅니다. 즉 시차가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각각의 초점이 다른 똑같은 그림을 두 개 이상으로 나열하게 되면, 우리의 뇌는 그 차이를 감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눈이 혼란을 겪게 됨으로써 반복되는 그림 사이에서 마치 하나의 그림이 입체적으로 또렷하게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매직아이의 원리라고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직아이스티커의 원리는 스티커를 입체적으로 만들어놓고
각기다른면마다 다른그림이 보이게끔 그림을 그려놓은 원리인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