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을 하게되면 토지에 어떤 이로운점이 있나요?
옛 사료를 보다보면 조상님들이 농사를 짓고나서 그땅을 화전을 하였다는 기록을 찾아볼수 있는데요
화전을 하게되면 그 다음해는 그곳에 농사를 지을수없게되는데 그걸감수하면서 화전을 한것이 신기한데요
화전을 하게되면 토지에 어떤 이로움이 생기기에 다음해에 농사를 포기하면서까지 화전을 시행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이나 숲을 불태우고 그 자리에 농사를 짓는 경작 방식. 화전은 수도작(水稻作)이 불가능한 산간지대나 고원에서 초지(草地)를 태우고 난 뒤 그 땅에 밭곡식을 심어 거의 비료를 주지 않는 방식인데 나무를 일일이 베고 흙을 골라내는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개간하는 데 너무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에 불을 질러 화전을 일구는 것이다. 열대우림과 같은 지역에서는 영양분을 이미 수초가 흡수해버려 의외로 토지 자체는 척박해서 화전이라도 하지 않으면 농사 자체가 불가능할 때가 많아 화전을 택하기도 한다. 이 농업은 극히 원시적인 약탈경제의 한 형태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농경방식이다. 중국의 화경(火耕)이나 일본의 야키바타(燒畑)도 이에 속한다.
출처:나무위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제가 아는 지식으로는
화전을 할경우, 병충해를 막을수 있습니다.
농사에 악영향을 주는 해충을 죽일수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로 식물이 타면서 그 재가 바로 하나의 영양분이 될수 있습니다.
영양분이란 탄소와 질소가 많아야 하는데, 재가 불에 타면서 탄소화합물, 질소화합물을 만드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화전은 산림을 태워서 땅을 개간하고 농사를 짓는 농법입니다. 화전은 매우 오래된 농법으로, 기원전 1만년경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전은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사용된 농법으로, 조선시대까지도 널리 사용되었습니다.화전은 다음해에 농사를 지을 수 없지만, 그 다음해에는 토지에 어떤 이로움이 생기기에 다음해에 농사를 포기하면서까지 화전을 시행하였는지 궁금합니다.
화전은 다음과 같은 이로움을 가져옵니다.
토양의 비옥도를 높입니다. 화전으로 인해 토양의 염류가 제거되고, 유기물이 증가합니다.
작물의 생육을 촉진합니다. 화전으로 인해 토양의 온도가 높아지고, 통풍이 좋아집니다.
해충과 병충해를 방제합니다. 화전으로 인해 해충과 병충해의 서식지가 파괴됩니다.
그러나 화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있습니다.
토양의 침식과 산림의 황폐화를 가져옵니다.
대기오염을 발생시킵니다.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킵니다.
화전은 매우 효율적인 농법이지만, 환경에 많은 피해를 줍니다. 따라서 화전은 환경친화적인 농법으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전을 하게되면 당장 해당년도의 농사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화전을 통해서 토양에 염분 등이 제거되고 열에 의해서 토양에 공간이 생겨 통풍이 유리해 집니다.
이러한 환경 조건에 의해서 다음 해 농사를 지을 때 조금 더 개선된 환경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는 것 이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전은 토양을 개량하고 풍부한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화전을 통해 퇴적물이 형성되고 유기물이 분해되어 토양의 풍부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화전은 생물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생태계를 지원합니다. 토양에는 다양한 미생물, 벌레, 지렁이 등의 생물들이 서식하며, 이들은 토양 생태계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