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우주천문분야에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관측 이후 나타난 수많은 붉은점들 정체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 망원경 이후 최고의 망원경으로서 입지를 굳히고 있다고 아는데요

2021년 발사되어

지금은 지구 궤도가 아닌 라그랑주 포인트에 정확히 안착하여

적외선 관측을 통해

우주 최초의 별과 은하, 그리고 행성 및 생명의 기원, 우주의 기원 등의 답을 찾기위해

우주 관측을 하는 것으로 압니다.

빅뱅직후 탄생했다는 최초의 별과 은하들을 적외선으로 관측시도 중이며

허블보다 더 큰 주거울과 첨단 적외선 센서로

훨씬 더 먼 대상까지 관측하여

우주와 미지의 천체들의 세부적 구조를 더욱 선명하게 포착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이전에는 관측 상 전혀 나타나지 않던

수많은 붉은 점들이

심우주 관측, 즉 딥필드 이미지에서 관측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기존에 관측되지 않던

그 수많은 붉은 점들은 정확히 어떤 것이라고 판명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적외선 영역을 관측하며 먼 은하일수록 우주 팽창에 따른 적색편이 현상이 극명하게 나타나며 그 빛이 적외선 영역으로 밀려나게 되지요. 우주 초기 은하, 빅뱅 직후의 1억~5억년 사이에 형성된 최초의 은하와 별들까지 관측이 가능하게 됩니다. 붉은점들은 대부분 초기은하들로 138억년 전 초기 우주에서 형성된 고적색편이 은하들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딥필드 이미지를 촬영하고 기존 허블 우주망원경 이미지에선 없던 붉ㅇㄴ 점들이 다수 포착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이론보다 너무 빨리 생겼으며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일부 은하들이 우주 나이 2억~4억년 밖에 되지 않았을 시점에 이미 거대한 구조와 별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