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24.04.12

24절기 무엇을 보고 만들어 졌는지 알려주세요?

한해가 시작 되면 어김없이 24절기가 입춘을 시작으로 시작됩니다 이렇게 24절기가 만들어진 것은 어떤 원리에 의해서 만들어 졌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특징지은 계절적 구분하는 기준이죠. 이는 동지를 한 해의 시작으로 하여 춘ㆍ하ㆍ추ㆍ동 4계절에 각각 6개의 절기가 있으며, 한 절기와 다음 절기의 사이는 평균 15.2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 유래는 중국 지방의 기후 특징을 나타낸 용어를 붙여 만들어졌다고 하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24절기는 아시아에서만 존재하는 계절과 시기를 구분하는 방법입니다. 봄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만 이러한 절기구분이 가능합니다. 4계절안을 다시 6등분 한것이라 사실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는 요즘은 잘 들어맞진 않지만 조상님의 지혜를 말할때 아직까지 뉴스 등에서 언급이 되는 것이 바로 24 절기 구분 입니다. 절기와 절기 사이를 15일 간격으로 나눈것인데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진 달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개념이라 국내에 적용은 정확하게 되진 않지만 이를 기준으로 조선시대에 농법개발 에 활용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절기는태양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만들어졌으며 1년을 15일 간격으로 24등분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이 24절기입니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고 이를 보통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한 달 중 매월 4-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19일-23일 사이에 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중국에서 기원한 천문학적인 개념으로, 태양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의 직선 조도가 변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의 직선 조도가 15도마다 변화하면서 24절기가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음력의 약점을 보완하는 양력 요소, 24절기

    이런저런 방법으로 순태음력을 보완하여 고대인들은 달력과 계절의 변화를 맞춘 태음태양력(lunisolar calendar)을 만들어내었지만, 19년 동안은 태양의 변화와 미묘하게 어긋나는 일이 매년 반복된다. 이래서야 농사를 짓는 데에 불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대인들은 “절기(節氣)”라는 절묘한 기법을 생각해내었다. 태양의 움직임이 대략 360일 정도로 반복되므로, 이것을 24등분 하여 약 15일마다 마디(節)를 만드는 것이다.


    즉, 달력 자체는 음력을 사용하여 달의 모양만으로 날짜를 짐작할 수 있게 하면서, 이와 별도로 약 15일을 단위로 돌아가는 달력을 하나 덧붙인 셈이다.


    지금은 날짜와 시간을 알기 위해 하늘을 보는 대신 달력과 시계를 보는 세상이 되었기에, 음력을 사용할 일이 드물지만, 옛날 사람들에게 날짜는 달을 보고 알고, 농사는 정해진 절기를 따르면 되는 체계는 대단히 효과적이었을 것이다.


    24절기는 다시 12개의 절기(節氣)와 12개의 중기(中氣)로 다음과 같이 나뉘어, 12절기와 12중기가 교대로 온다. 24절기 안에 12절기가 또 있으니 용어가 조금 혼란스러울 텐데, 이 글에는 절기라고 하면 24절기를 의미하며, 12절기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는 반드시 12절기라고 구분하여 표시할 테니 그렇게 이해해주시면 좋겠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위치를 나타내는 황도를 기준으로 15도 간격으로 24개의 지점을 설정하여 계절을 표현하는 체계입니다. 춘분점을 기점으로 동쪽으로 15도씩 이동하면서 각 지점을 지날 때를 하나의 절기로 정합니다. 따라서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24절기는 보통 하늘의 별자리와 지구의 1년을 대입하여 24개로 나누어 절기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아시아권의 경우 중국에서 이와같은 방식을 먼저 사용하고 배포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