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2

일본에 보관되어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문서<신라촌락문서>는 어떠한 내용들이 들어있나요?

얼마전 외국에 보관되어있는 문화재들에 대해 이야기를 들으며 일본에 보관되어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문서<신라촌락문서>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 문서에는 어떠한 내용들이 들어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2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니라장적, 신라민정문서라고도 하며 이 문서는 9세기경 작성된 것으로 서원경 부근의 4개 촌락에 관한 기록입니다.

    이는 자연촌락을 단위로 하여 촌의 면적, 호구, 인구수, 토지의 면적과 소, 말 , 뽕나무 , 잣나무 , 호두나무 등의 수효 등이 기록되어있습니다.

    신라에서는 자연촌락을 단위로 국가의 공과 와 공역이 부과되었고 이 문서는 이러한 필요 때문에 작성된 것으로 촌주에 의해 3년 마다 조사, 작성되었고 호구에 대해서 가장 자세히 기록하는데 호의 등급은 노동력의 다과를 기준으로 상상에서 하하 까지 9등급으로 나누고 인구는 남녀별, 연령별로 6등급으로 조사되어있습니다.

    호구는 3년간의 이동사항까지 자세히 조사되어있는데 이는 부역의 징발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여자도 역의 동원 대상으로 파악되었고 이 중 살하지촌의 호는 호등에 의해 구분된 것과 동시에 호등에 관계없이 여자, 법 의 형태로 구분되어있는 데 이는 촌락을 기로 한 부대인 법당군단에 속하는 어떤 부대에 징발된 호 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문서는 각 촌 단위마다 거둬야 할 세금의 총액을 계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문서를 통해 볼 때 통일 신라 시대에는 조세를 거둘 때 개별 가호의 경제력을 감안하여 차등 있게 부과하였으며, 개별 촌 단위로 조세의 총액을 계산하여 수취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출처: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개 촌의 문서는 모두 ① 촌명(村名) ② 촌역(村域), ③ 연(烟), ④ 구(口), ⑤ 우마(牛馬), ⑥ 토지, ⑦ 수목, ⑧ 호구의 감소, ⑨ 우마의 감소 ⑩ 수목의 감소 순으로 일정하게 기재되었습니다. 이처럼 국가가 촌을 대상으로 일체의 사항을 파악해 행정적으로 문서를 완결지워 놓았다는 사실은 문서의 개별촌이 행정촌이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개별촌은 10∼15호의 공연(孔烟)으로 이루어졌고, 촌역은 반경이 1.3∼3.7km 정도였습니다. 대개 자연촌락은 반경 730m 범위 내에서 형성되므로, 문서상의 개별촌은 2∼3개의 자연촌으로 이루어진 행정촌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C촌을 제외한 나머지 촌의 둘레는 A촌이 5,725보(步), B촌이 1만 2830보, 그리고 D촌이 4,800보였습니다. 문무왕 12년(672)에 쌓은 남한산성의 둘레 4,360보와 비교한다면, D촌은 남한산성보다 조금 더 크고, 나머지 촌은 2∼3배정도 되었습니다. 따라서 당시의 촌역에는 주거지 · 경작지 뿐 아니라 산천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하천주위의 방천이나 야산은 우마의 방목 · 과 채초(採草)에 이용되고 산림은 땔감마련을 위한 채목(採木)에 이용되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