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돌림힘이라는 것이 무슨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돌림힘이라고 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무슨개념인가요?

돌림힘과 관련된 실험은 무엇이며

돌림힘이 적용된 사례는 어떤게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돌림힘, 회전력(回轉力), 토크(torque) 또는 모멘트(moment)는 물체를 회전시키는 효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힘이 아닙니다. 돌림힘은 스포츠에서 회전하는 물체(예: 야구공, 농구공)의 움직임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돌림힘은 또한 자동차의 커브에서의 운전 동작, 인공위성의 궤도 유지 등 다양한 공학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돌림힘은 회전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으로, 물체를 회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힘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가 원형 경로를 따르며 회전하는 동안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힘입니다. 돌림힘은 질량의 분포와 회전하는 물체의 각속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돌림힘과 관련된 실험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법률 보존 실험"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강체를 어떤 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회전하는 동안 돌림힘을 측정하여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돌림힘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회전 운동에 대한 법칙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힘을 가하면 물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물체를 회전시키는 원인이 되는 물리량을 돌림힘이라고 한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돌림힘은 물체가 회전운동을 할 때 나타나는 회전의 경향의 척도,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한 힘의 작용을 나타냅니다. 토크(torque) 또는 회전력(回轉力)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렌치로 나사를 돌리는 경우 나사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뿐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변위)하지 않습니다.힘(force)이 선형 운동학에서 물체의 가속을 유발하는 벡터량이듯, 토크는 물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가속을 유발하는 벡터량입니다.

    우리 실생활에서는 엔진, 특히 내연기관과 관련해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입니다. 대부분의 엔진은 회전축을 돌림으로써 작동하는 방식이라, 자연히 회전축을 돌리는 돌림힘으로 그 출력을 표현하게 되기 때문입니다.돌림힘 외에도 그 엔진이 할 수 있는 일률인 마력으로도 엔진의 출력을 표현하기도 하는데, 엔진의 돌림힘과 마력을 환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읍니다.

    돌림힘(N⋅m) × 분당 회전수(RPM) ÷÷9550= 마력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돌림힘, 회전력, 토크 또는 모멘트는 물체를 회전시키는 효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며, 힘이 아니다. 토크는 힘과 받침점까지의 거리의 곱으로, 기호는 보통 그리스 문자 τ 다. 돌림힘은 힘과 거리를 곱한 차원을 갖고 있으며, 국제 단위는 뉴턴 미터 또는 라디안 당 줄이다.

    출처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돌림힘은 물체가 회전운동을 할 때 나타나는 회전의 경향의 척도,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한 힘의 작용을 나타낸다. 토크(torque) 또는 회전력(回轉力)이라고도 한다.

    돌림힘은 우리 실생활에서는 엔진, 특히 내연기관과 관련해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이다. 대부분의 엔진은 회전축을 돌림으로써 작동하는 방식이라, 자연히 회전축을 돌리는 돌림힘으로 그 출력을 표현하게 되기 때문이다. 돌림힘 외에도 그 엔진이 할 수 있는 일률인 마력으로도 엔진의 출력을 표현하기도 하는데, 엔진의 돌림힘과 마력을 환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돌림힘(N⋅mN⋅m) ×× 분당 회전수(RPMRPM) ÷ 9550=÷9550= 마력
    위 공식을 보면, 돌림힘이 같다면 RPMRPM이 높을수록 마력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때문에 높은 RPMRPM에서 최적의 돌림힘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엔진들은, 낮은 RPMRPM에서 최적의 돌림힘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엔진보다 대개 마력이 높다. 전자의 경우는 고속 스포츠카나 경주용 오토바이에 탑재되기에 적합한 엔진이며, 후자의 경우는 화물차나 버스, 크루저 오토바이(무겁고 느린 장거리 여행용 오토바이)에 탑재되기에 적합한 엔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