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누리함
누리함23.04.03

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깰 수 있다고 하는데 무슨 원리로 깨지는 거죠?

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깰 수 있다고 하는데 무슨 원리로 깨지는 거죠? 파동의 힘이 강해서 그런가요? 그러면 진짜 장풍이 있었다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깨는 것은 고조파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고조파는 원래의 파동과는 다른 파동으로서, 주파수가 원래 파동의 주파수의 정수배인 파동입니다. 즉, 높은 주파수의 음파로 인해 유리잔의 고유진동수가 맞아 떨어져서 유리잔이 깨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유리잔 외에도, 다양한 물체에서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연주하는 악기의 음파로 인해 유리창이 깨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깨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유리잔의 고유진동수와 노래의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서는 매우 정확한 음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리잔 자체도 분자 간 결합이 매우 강하므로, 일반적인 인력으로는 유리잔을 깨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깨는 것은 일종의 예술적인 퍼포먼스로서, 실제로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노랫소리로 유리잔을 깨는 현상은 공명이라는 현상에 기반합니다. 공명은 물체가 일정한 주파수로 진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유리잔과 같은 물체는 특정한 주파수의 소리에 대해 공명을 일으키면 큰 에너지를 흡수하여 깨어집니다.

    노래를 부를 때 목소리로 만들어지는 진동은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지만, 노래의 일부 구간에서는 유리잔의 공명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명 주파수에 일치하는 주파수를 유리잔에 인가하면, 유리잔은 진동을 증폭시키는 공명 현상을 겪으면서 큰 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리잔이 깨어질 수 있습니다.


  • 노래나 소리로 유리잔을 깨트리는 것은 공명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유리 잔은 공명 주파수에 맞게 진동하면서 에너지가 축적되어 깨지게 됩니다. 이 때 주파수는 잔의 크기와 형태,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소리도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주파수를 내는 노래나 소리를 내면 유리 잔이 공명하게 되어 깨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리 잔을 깨트리기 위해서는 매우 큰 음량과 적절한 주파수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렇게 유리 잔을 깨트리는 것은 유리 잔과 주변 환경에 매우 큰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위험하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