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고귀한거미8
고귀한거미823.01.05

경제용어 중 R의 공포가 무슨 뜻인가요?

티비 경제프로그램에서 R의 공포라는 단어를 듣게 되었는데요.

R의 공포가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여기서 R이라는 알파벳을 사용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게으른흰동가리82입니다.

    경기침체(Recession)의 공포라는 뜻이에요. 경기침체는 생산·소비가 크게 떨어지는 불황(Depression)이 오기 전에 경제가 시들시들해지는 걸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인 디플레이션과 공포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신조어로, 디플레이션의 발생 원인은 크게 공급 측 요인과 수요 측 요인으로 나누어진다.


    공급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은 기술혁신, 노동생산성 향상 등에 기인하는 반면, 수요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다. 공급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은 물가하락과 함께 경제성장이 촉진될 수 있는 반면, 수요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은 경제성장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 1930년 대 미국의 대공황, 1990년 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등은 수요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받은 사건이며, 이후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보다 더 위험한 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디플레이션에 대한 공포는 수요 측 요인에 의한 디플레이션 소용돌이(deflationary spiral) 현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품 혹은 자산가격이 떨어지면 소비자들은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을 예상하여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미루려는 경향이 강해진다. 소비 감소는 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지고, 이로 인하여 기업들은 설비투자 및 고용을 줄인다. 기업 부문에서의 고용 감소와 임금 하락은 소비자들의 소득 감소 및 구매력 약화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디플레이션을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와 유사한 형식의 용어로 경기침체(Recession)의 공포를 뜻하는 ‘R의 공포’, 실업(Jobless)의 공포를 나타내는 ‘J의 공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