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성종양의 정의가 무엇이며 암의 기수에는 해당이 안되나요?
암보험에서 보면 경계성 종양과 상피내암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보험회사 입장에서 보험금을 세분화하여 적게 주려고 하는 상술로 생각이 드는데요.
경계성종양은 무엇이며 어떠한 경우에 보험금 수령이 가능한지 질문 드립니다.
용어가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 악성종양이 아닌 모든 종양을 양성종양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두 가지 모두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독특한 종양입니다.
경계성 종양은 처음부터 암세포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 암이 아닌 상태로 양성종양처럼 별다른 전이가 없이 계속 덩어리로만 머무를지 아니면 갑자기 악성으로 변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경계를 요하는 종양입니다
악성이 되든 양성이 되든 그 전에 발견한것이라 건강에 큰 위험이 없이 제거가 가능하기에
소액암으로 분류되어 일반암에 10프로만 받는 것이 일반적이고 일반암 보장은 남아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금다경 보험전문가입니다.
경계성이라고하는건 피부에 진피층을기준으로본다면 그선을넘어 침윤파괴적이냐아니냐이구요.상피내암은 피부조직부분에서 더이상 암세포가 깊이들어가지않고 그표면에만있는경우라고 생각됩니다.설명하려니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김충신 손해사정사입니다.
암을 구분하는 기준이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암의 치료방침을 위해 진행단계 1기~4기로 구분
고형의 종양에는 TNM병기로 분류
암의 조직학적, 형태학적 행동양식 분류가 있습니다.
형태학적 분류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0 양성종양
/1 경계성종양
/2 제자리암
/3 악성, 원발
/6 악성, 속발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경계성 종양이란 양성과 악성의 경계에 있는 종양으로, 악성과 양성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종양을 의미합니다.
즉, 발견된 종양이 암이 되기 이전의 종양이거나 혹은 종양의 성격이 악성종양인지, 양성종양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종양을 말합니다.
상피내암이란 상피세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이 침윤암으로 가기 직전의 단계를 말합니다.
상피세세포는 몸의 바깥깥쪽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몸의 많은 부위에 퍼져있습니다.
피부, 구강, 자궁경부, 배 안쪽 등이 상피조직에 속합니다.
상피내암은 자궁경부암, 유방암 등 모든 암에 적용되는 암 직전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 다 유사암에 속하고 각각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근 보험전문가입니다.
경계성종양은 암이지만, 질병코드가 D코드로 대부분 분류가 되게 됩니다.
D코드로 변경될 경우 보험상품 에 유사암 또는 소액암 보장에서 보장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강학만 보험전문가입니다.50553355
경계성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암에 해당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양성과 악성의 경계에 있는 종양, 또는 악성인지 양성인지 정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종양을 의미합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상 D37 ~ D48 "행동양식불명 미상의 신생물" 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즉, 발견된 종양이 암이 되기 이전의 종양이거나 혹은 종양의 성격이 악성종양인지, 양성종양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종양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