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5.20

사인과 코사인 법칙은 누가 발명한 걸까요?

수학공식중에 사인과 코사인 법칙이 있습니다.

빗변과 높이, 그라그 빗변과 높이의 상관관계를 수학 공식으로 표현한 것인데요.

이공식은 누가 발견한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삼각함수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에 의해서 발명되었습니다.

    유명한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이때 나온 것인데, 이 정리를 통하여 우리는 삼각형의 각도와 길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삼각함수인 사인과 코사인 법칙은 고대 인도-유럽 수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함수들을 현재의 형태로 정식적으로 발견하고 연구한 사람은 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 이탈리아의 수학자인 요한네스케플러, 그리고 독일의 수학자인 르이스 오일러등이 있습니다.

    데카르트는 좌표 평면과 좌표계를 도입하여 삼각함수를 연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인과 코사인 법칙을 정리하였습니다. 케플러는 태양계 내 행성의 운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삼각함수를 활용하였으며, 오일러는 데카르트의 좌표 시스템을 발전시켜 삼각함수를 더욱 깊이 연구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정답은 300년전 태어났던 천재 수학자 '오일러'이다.


    사인.코사인 법칙으로 대표되는 삼각함수 생략 기호를 만든 것을 비롯해 수학분야에 큰 업적을 남긴 오일러의 탄생을 기념하는 세미나가 고대에서 열린다.


    고려대는 19일 주한 스위스대사관과 공동으로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 탄생 300주년을 기념해 이날 오전 10시 30분 고려대 자연계 캠퍼스 하나스퀘어 지하1층 강당에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일러는 스위스 북부 바젤(Basel) 출신으로 수학자ㆍ물리학자, 천문학자였으며 의학ㆍ식물학ㆍ화학 등 많은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연구했다.


    특히 수학분야에서는 미적분학을 발전시키고, 변분학을 창시했으며, 대수학ㆍ정수론 ㆍ기하학 등 여러 방면에 걸쳐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두뇌 개발 게임 '수도쿠' 의 아버지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삼각함수인 사인과 코사인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Pythagoras)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피타고라스와 그의 학파들은 직각 삼각형과 그와 관련된 수학적 관계를 연구하였는데, 이 연구과정에서 사인과 코사인의 개념이 발견되었습니다. 피타고라스 정리와 함께 사인과 코사인은 삼각형의 각도와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고, 이후로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발전되어 왔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0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삼각함수의역사는 처음에 누가 발견을 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옛날사람들이 토지를 관리하거나 항해를 하다가 얻은 지식들이 하나씩 쌓여

    오늘날의 내용으로 발전이 된것입니다. 노하우 같은것이죠

    기원전 1900 년에서 16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서

    삼각비의 하나인 시컨트의 표로 생각되는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