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WINTERFELL
WINTERFELL
19.07.09

'미래의 블록체인' 이라고 불리는 방향성 비사이클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블록체인 전문가님들께 매우 감사드립니다.

블록체인 3.0 시대를 열어갈 미래의 블록체인이라고 평가되는 DAG(Directed Acyclic Graph)는 지금까지의 블록체인과 어떤 점에서 차별되며, 어떤 의미에서 미래의 블록체인으로 평가되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19.07.10
    • DAG(Directed Acyclic Graph)는 지금까지의 블록체인과 어떤 점에서 차별되며, 어떤 의미에서 미래의 블록체인으로 평가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방향성비순환그래프(DAG)에 대해 답변 드리기 전에 한 가지 그림부터 보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왼쪽이 DAG 방식의 알고리즘에 따른 구조이고 오른쪽이 블록체인이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이어져 나가는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DAG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를 의미하는데요, 이 말은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되 특정한 순서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시작과 함께 일정하게 나아가는 방향이 존재하지만 그 안에서 일정한 순서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무작위로 뻗어나가며 계속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죠.

    DAG 구조로 거래 내역을 검증하게 된다면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하나의 노드가 다른 많은 노드들과 연결되며 동시에 다른 노드들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 집니다. 이것은 블록체인이 이전의 거래 내역을 통해 새롭게 블록에 기록될 내역을 검증하여 블록을 생성하고 기록하며 이어져 나가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노드들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DAG의 확장성은 더욱 증가하고 트랜젝션을 처리하는 속도도 빨라집니다. 또한 트랜젝션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수수료도 저렴해질 수 있죠.

    현실의 예를 들어보면 erc20이라는 사람이 마트에 가서 계산을 하기 위해 줄을 서 있고 앞 사람이 계산을 해야만 내 물건을 계산할 수 있는 것과, 마트에 가서 계산대에 줄을 서 있는데 옆 계산대의 계산원 분이 여기서 계산하라고 말을 해서 옆으로 이동해서 빠르게 계산을 하고 나가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한 노드가 다른 노드들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일정한 순서가 없고 비순환적이기 때문에 빠르게 다른 노드를 선택하여 거래를 검증해 줄 수가 있는 것입니다.

    끝으로 DAG가 이론적으로는 블록체인보다 나은 미래의 블록체인이라고 불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실제로 노드가 많지 않다면 보안성이 취약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DAG 방식의 체인이 적용된 IOTA는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회사 자체에서 중앙화된 검증, 관리 노드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DAG가 미래의 블록체인으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